메뉴

나는 고등학생인데 왜 이 드라마를 자세히 챙겨 보는 거지?

드라마 '부부의 세계'에 대한 중국 네티즌 반응

 

 

웨이브에 따르면 4월 첫째 주 미국·영국 드라마 차트 시청률 1위에 닥터 포스터가 올랐다. 지난주에 4위를 차지했는데, 한 주 만에 1위로 올라선 것이다.

 

 닥터 포스터는 김희애, 박해준 주연의 ‘부부의 세계’ 원작으로, 지난 2017년 영국 BBC에서 방영돼 큰 인기를 받은 드라마다.

 

 한국 드라마 '부부의 세계'가 연출, 카메라 기법 등 원작을 매우 비슷하게 리메이크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원작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웨이브에서도 '닥터 포스터'의 전체 시청 시간이 지난 주에 비하여 2배 이상 증가하는 등 엄청난 반응을 얻고 있다.

 

 [웨이브 미국·영국 드라마 랭킹 1위~10위]

 

△1위  '닥터 포스터' △2위  '로 앤 오더 성범죄 전담반' △3위  '그레이 아나토미' △4위  '워킹 데드' △5위  'SEAL Team' △6위  'FBI' △7위  '크리미널 마인드' △8위  '멘탈리스트' △9위  '매니페스트' △10위  '코브라'

 

 다음은 드라마 '부부의 세계'에 대한 중국 네티즌 반응이다.

 

나는 고등학생인데 왜 이 드라마를 자세히 챙겨 보는 거지?

 

가장 무서운 것은 주변 사람들의 태도인데, 이면의 스파이나 간섭하지 않는 친구가 되어있고, 심지어 아들까지 아버지 편을 드는 것이 가장 절망적이고 가슴 아픈 일인 것 같아.

 

여자 주인공은 높은 학력과 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그녀의 주변 친구들은 그녀를 속이고 아들조차도 그녀를 배려하지 않아. 그녀를 도와주지도 않고! 이 드라마는 너무 답답해!

 

남녀는 결코 유전적으로 타고난 차이는 없어. 본능은, 절대 남자가 바람피워도 되는 핑계가 아니야. 이 말은 너무 멋져.

 

봐, 남자가 잘못을 저질러도 딜레마에 빠진 건 아내야.

결혼생활이 결국 파경을 맞을지 아닐지는, 전부 여자가 참을지 아닐지에 달려있어.

너무 사실적이야.

 

보는 중인데, 남자의 불륜 심리가 너무 사실적이야! 역시 드라마는 생활에서 비롯되는 거지, 여자 주인공의 모순된 심리는 사실 매우 전통적이고 동양적이야, 사람들에게 추천해줄 만한 드라마인 것 같아!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