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SUV 차량 판매 TOP 10 브랜드, 20년 1-2월

상위 1.2.3위 중국 국산차 , 일본과 독일 SUV 하위로 밀리기 시작

1위 : 哈弗H6 (하발H6-장성자동차 SUV브랜드)

2위 : 长安CS75 (장안CS75-장안자동차)

3위 : 博越 (보월-지리자동차)

4위 : 本田CR-V (혼다 CR-V)

5위 : 奔驰GLC (GLC-벤츠 )

6위 : 探岳(티록-폭스바겐)

7위 : 途观(티구안-폭스바겐)

8위 : 传祺GS4 (GS4-GAC motor group))

9위 : 途岳 (투아렉-폭스바겐)

10위 : 奇骏 (X-트레일-닛산)

 

 2020년 2월 중국의 승용차 판매대수는 25만2300대로 전월 대비 85.3%, 전년 동기 대비 78.5% 감소했다.

 

 이 중 승용차 판매대수는 2월 12만4600대로 84.8%, MPV는 1만7700대로 82.1%, 전년 동기 대비 80.2%, SUV는 1099대 각각 감소했다.

 

 2020년 1-2월 SUV 판매량 10위 안에는 하버H6, 장안CS75, 보월, 혼다 CR-V, 벤츠 GLC, 탐악, 투관, 중계 GS4, 투악, 기준이 올랐다.

 

 이 가운데 1-2월 SUV 판매량 1위는 하버H6로 누적 판매량은 2만9615대로 전년 동기 대비 56.6% 줄었다.

 

 2월 SUV 판매가 저조한 것은 춘절이 빨라진 계절적 영향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가 차 시장에 미친 영향이 복합적으로 반영된 것이다.

 

 갑작스러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여파로 설 연휴부터 중국 전국 각지의 딜러들이 폐점을 하고 판매 서비스 운영을 전면 중단함에 따라, 대부분의 자동차 판매점들은 2월 첫 3주간 소매 판매가 거의 전무한 상태다.

 

 설 연휴 동안 중국 국내 사용자의 차량 가동률이 매우 저조하여 유지보수 수요가 강하지 않으며, 많은 딜러들이 업무에 복귀하는 적극성이 높지 않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