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트럼프의 부활절 이전에 정상화된다는 말은 허황된 희망일 뿐..."

뉴욕시, 데 블라시오 시장. "트럼프 믿지 마라" 고 비난.

 

지난 24일, 미국내 코로나19의 확산세가 전혀 수그러들 기세가 보이지 않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 부활절 (4월 12일) 이전에 경제를 비롯한 미국의 모든 상황이 정상화 되기를 원한다" 라고 언급한 것에 대해, 각계의 비난이 빗발치고 있다.

 

 트럼프 미 대통령은, 이 날 폭스tv 와의 인터뷰에 출연해,  " 4월 12일 부활절 예배때에,  모든 교회가 사람들로 가득 차게되는 것이 좋지 않습니까?"라며, 부활절이 자신에게는 특별한 날이라고 언급하며,  부활절이 되기 전에 모든 게 정상화될 것이라고, 특유의 자신있는 어투로 호언장담했다.

 

이같은 트럼프의 호언는 민주당의 거센 비판을 불러 일으켰다.

 

올해 11월 미국 대선의 상대방인 민주당 대통령후보 바이든은, "트럼프는 입을 닥치고 전문가들의 말을 귀를 기울여야 한다." 고 거센 어투로 비난했다.

 

 그리고, 미국 코로나19사태의 직격탄을 맞고 있는 뉴욕시의 빌 더 블라지오 (Bill de Blasio) 시장은 "트럼프가 이같이 예측할 수 있는 아이디어가 어디서 나왔는지는 모르지만, 미국시민들은 이런 허황된 희망에 기대하지 말라 "고 비난 대열에 합류했다.

 

블라지오 뉴욕시장도 당적은 민주당 소속이다.
 

이 같은 민주당의 대표적 인사들의 비난에 대해,  트럼프는 "교통 사고로 사망하는 사람들이 나날이늘어나지만, 그렇다고 해서 모든 사람에게 운전을 중지하라고 요구하지는 않는다" 며, 다소 엉뚱한 해명을 내놓아 미국 언론으로부터도 비판을 받았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