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코로나19 해외 역유입 방지 박차

 

코로나19 역유입을 막기 위해 중국이 입국 규정을 강화하는 데에 나섰다. 코로나19 발원지로 알려진 우한이 위치한 후베이성 외 지역에서 발생한 신규 확진이 역유입 때문이라는 분석에서다.

15일 관영 신화통신은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를 중심으로 운영되는 중국 국무원상무위원회가 "해외 감염 확산을 고려해 감염병 유입 및 유출을 보다 확실히 막을 수 있도록 조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보도했다.

 

해당 조치에 따라 수도 베이징시는 16일부터 무증상 입국자들을 집중 관찰 장소로 옮겨 14일에 걸쳐 건강 상태를 점검할 계획이다. 호텔을 비롯한 일부 지정 장소에서 머물며 생겨나는 비용은 입국자들이 모두 부담해야 한다.

중국은 지난 11일 이후로 코로나19 심각 국가들을 대상으로 14일간 자택 격리나 집중 관찰 조치를 적용해왔다. 하지만 이번 조치를 통해 모든 입국자로 확대 적용하고, 각 입국자들에게 비용을 부담하게 했다.


중국 매체들은 이번 베이징시의 조치를 적극 지지했다. 이에 더해 해당 조치를 전국으로 넓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환구시보(環球時報)는 사평을 통해 "현재 중국의 역외 유입 누적 환자 수는 111명"이라며 "대부분은 자가 격리를 거치며 확진 판정을 받았지만, 그렇지 않았을 경우 후폭풍이 심각했을 것"이라고 평했다.

또 "격리 비용을 스스로 부담하게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며 "중국에 들어온 코로나19 환자의 치료 비용을 모두 무료하는 것은 해외 거주 중국인의 입국을 독려하는 중요한 이유"라고 덧붙였다.

이정연/연합뉴스/해동주말 제휴사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