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코로나19 해외 역유입 방지 박차

 

코로나19 역유입을 막기 위해 중국이 입국 규정을 강화하는 데에 나섰다. 코로나19 발원지로 알려진 우한이 위치한 후베이성 외 지역에서 발생한 신규 확진이 역유입 때문이라는 분석에서다.

15일 관영 신화통신은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를 중심으로 운영되는 중국 국무원상무위원회가 "해외 감염 확산을 고려해 감염병 유입 및 유출을 보다 확실히 막을 수 있도록 조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보도했다.

 

해당 조치에 따라 수도 베이징시는 16일부터 무증상 입국자들을 집중 관찰 장소로 옮겨 14일에 걸쳐 건강 상태를 점검할 계획이다. 호텔을 비롯한 일부 지정 장소에서 머물며 생겨나는 비용은 입국자들이 모두 부담해야 한다.

중국은 지난 11일 이후로 코로나19 심각 국가들을 대상으로 14일간 자택 격리나 집중 관찰 조치를 적용해왔다. 하지만 이번 조치를 통해 모든 입국자로 확대 적용하고, 각 입국자들에게 비용을 부담하게 했다.


중국 매체들은 이번 베이징시의 조치를 적극 지지했다. 이에 더해 해당 조치를 전국으로 넓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환구시보(環球時報)는 사평을 통해 "현재 중국의 역외 유입 누적 환자 수는 111명"이라며 "대부분은 자가 격리를 거치며 확진 판정을 받았지만, 그렇지 않았을 경우 후폭풍이 심각했을 것"이라고 평했다.

또 "격리 비용을 스스로 부담하게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며 "중국에 들어온 코로나19 환자의 치료 비용을 모두 무료하는 것은 해외 거주 중국인의 입국을 독려하는 중요한 이유"라고 덧붙였다.

이정연/연합뉴스/해동주말 제휴사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