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홍콩, 올해 성장률 -1.2% 전망...코로나19 쇼크가 원인

홍콩, 쓰나미 같은 충격 직면

 

올해 성장률 -1.2% 전망

 

홍콩의 올 경제성장률 전망치다. 마이너스 역성장이 예고됐다.

홍콩으로서는 충격적이다.

지난해 이미 역성장을 했다. 잠깐 반등한 경제가 다시 가라앉는 ‘더블딥’ 현상이 나오고 있는 것이다.

조사는 블룸버그가 해 19일 보도했다. 경제학자 설문조사 결과, 홍콩의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가 평균 -1.2%였다

주 원인은 역시 코로나19다.

홍콩이 2년 연속 침체에 빠지면서 홍콩과 중국 내륙간의 갈등도 고조될 전망이다.

홍콩은 그동안 중국 내륙이 홍콩의 성장을 빼앗아 간다고 여기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 경제학자들은 올해 1~2월 코로나19로 인한 경기 위축이 예상보다 심각하다고 봤다. 이에 홍콩 경제는 4분기는 맞아야 회복될 것으로 예측했다.

홍콩의 지난해 역성장은 중국 내륙과의 불화 탓이었다. 민주화 시위가 가열되면서 홍콩 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미쳤다.

관광 소비가 모두 급락했다. 중간 거래 물동량 역시 급감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코로나 19의 영향이 과서 2003년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발병 당시보다 가혹할 것이라 전망했다.

특히 과거 사스의 경우 내륙의 지원이 있었지만 이번의 경우 내륙과 갈등이 있을 뿐이다.

실제 홍콩을 찾는 내륙인들은 최근 급감한 상태다. 코로나19 발병 이전의 경우 중국 내륙의 월별 홍콩 방문자는 평균 500만명에 달했다. 이는 전체 관광객의 70~80%에 해당한다.

올 2월의 경우 전체 관광개깅 하루 3천명 이하로 급락했다. 작년 동기와 비교해 99%가 ‘폭감’한 수치다.

둥천 픽테트자산운용의 아시아 담당 선임 애널리스트는 "홍콩이 4분기 이전에 경기 회복세를 보일 가능성을 낙타가 바늘 구멍에 들어가는 수준”이라며 “정치 경제 모든 게 부정적”이라고 말했다.

새뮤얼 체 DBS뱅크 이코노미스트는 "홍콩 경제에 대한 코로나 19의 충격은 모두의 예상을 뛰어넘고 있다“며 ”관광과 민간소비가 홍콩 경제의 60%이상을 차지하는 데, 그게 완전히 망가졌다“고 말했다.

이에 홍콩 정부는 대규모 소비 진작책과 재정정책을 동원하고 있다. 효과는 아직 미지수다.

캐리 람 홍콩 행정장관은 이번 주 의회로부터 36억달러의 예산 집행 승인을 받아 소비 진작을 위해 사용할 예정이다.

홍콩은 올해 대규모 적자 예산도 감행하겠다는 각오다.

폴 찬 홍콩 재무장관은 지난 16일 블로그에 “홍콩이 쓰나미 같은 충격에 직면하고 있다”면서 “경기 진작책으로 인한 지속적인 지출 부담 때문에 대규모 재정적자를 피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정연기자·서울=연합뉴스/해동주말 제휴사)

 


사회

더보기
중 상하이시 출산장려를 위해 사측 납입 사회보험액의 6개월치 50%를 회사에 되돌려 주기로
중국 상하이시가 여 직원이 출산휴가를 쓰는 경우, 회사에게 납입했던 고용보험 등 사회보험료 6개월분의 50%를 지원키로 했다. 여성들이 보다 자유롭게 출산 휴가를 쓸 수 있도록 하는 조치다. 이번 제도 실시로 출산 등을 우려해 여성 고용을 주저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1징지왕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상하이시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여성 직원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기간 중 고용주의 사회보험 지원금 지급에 관한 통지"(이하 통지)를 공표했다. 이번 통지는 시 인적자원사회보장국을 비롯한 5개 부서가 공동으로 서명했다. 중국 매체들은 “새로운 정책은 정부, 사회, 기업이 참여하는 출산 비용 분담 체계를 구축하고 "아동 친화적" 정책의 가치 지향성을 더욱 강화하는 것을 목표”라며 “’아동 친화적 일자리‘와 ’출산휴가 사회보장금‘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여성의 취업 장벽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통지는 2025년 1월 1일부터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시행하고 고용보험 등 사회 보험료를 납부한 경우 바로 신청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지원 기준은 출산휴가 및 육아휴가 기간 동안 여성 근로자의 기초연금보험, 기초의료보험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