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리덩후이 전 총통, 우유 마시다 응급실행

기침 멈추지 않아…98세 고령이라 입원후 검사

 대만 리덩후이(李登輝) 전 총통이 우유를 급하게 마시다 기침이 멈추지 않아 응급실에 실려갔다. 의료진은 심각한 상태는 아니지만 98세 고령이라 입원후 여러 검사를 거쳐야 한다는 입장이다.

 

 대만 중앙통신사는 9일 “대만 독립 대부 및 대만 전 지도자인 리덩후이가 8일 밤 늦게 우유를 마시다가 기침을 멈추지 않아 병원에 긴급 후송됐다”고 보도했다. 리덩후이 주치의인 천운량은 “리덩후이가 98세로 많은 질병을 앓고 있어 이를 면밀히 관찰하고 있다"고 말했다.

 

 리덩후이 사무실 주임인 왕옌쥔은 8일 인터뷰를 받을 때 간병인이 리덩후이한테 혈당과 혈압을 측정한 후 영양 보충을 위한 우유를 주었으나, 리덩후이가 너무 빨리 들이마셔서 기침이 멈추지 않았다고 말했다. 간병인은 흡입을 걱정해서 병원에 이송하여 검사 받아야 한다고 판단했고 주치의는 리덩후이가 입원해서 관찰이 필요한다고 보도하였다.

 

 천운량은 인터뷰에서 일반인이 우유에 걸리면 빨리 회복될 것이라고 말했다. 단, 리덩후이는 고령인 데다 만성질환이 많아 의료진이 흡입성 폐렴 등 상황을 면밀히 살펴야 한다고 말했다. 그리고 8일 밤 늦게 병원에 입원한 리덩후이는 컴퓨터 단층촬영 등 여러 가지 검사를 받고 있어 몸 상태를 좀 더 지켜봐야 할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대만 언론에 따르면 리덩후이는 심장혈관이 막혀 심혈관 받침대치설 수술을 여러 차례 했고, 2015년 11월 가벼운 뇌졸중을 겪은 뒤 사망 소문이 끊이지 않았다. 2019년 9월 20일 리덩후이가 심장병으로 자택에서 사망했다는 소문이 돌자 왕옌쥔은 바로 인터뷰에 "왜 그런 소식이 나오는지 모르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2018년 11월 29일 리덩후이는 자택에서 넘어지면서 머리를 부딪쳐 병원으로 옮겨져 2개월 가까이 입원한 뒤 퇴원했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