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힘내라 중국!“...한국, 일본 등 세계 각지서 지원 봇물

빌 게이츠 재단 500만달러 지원, 한국도 마스크 200만개 제공

 중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한국과 일본 등 전 세계에서 지원이 봇물을 이루고 있다. 빌게이트재단은 500만달러를 지원했고 한국도 마스크 200만개와 방호복 10만벌 등을 보냈다.

 

 27일 일본 오이타(大分)시는 우한에 마스크 3만개를 지원했다. 박스 겉면에는 ‘차이나 파이팅’이라는 글자가 써 있었다.

 

 아랍에미레이트 연방 아부다비의 모하메드 빈 자이드 알 나하얀 와세자는 26일 트위터를 통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국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아랍에미레이트 연방은 인도주의 원칙에 따라 중국에 많은 지원을 준비하고 있으며 국제사회와 협력해 공동 대응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애플 CEO는 25일 트위터를 통해 애플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폐렴에 감염된 사람들을 돕기 위해 관련 조직에 기부할 것이라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어떤 지원을 할 것인지, 돈을 기부할 것인지, 아니면 기술 지원을 할 것인지는 아직 발표되지 않았다.

 

 빌 앤드 멜린다 게이츠 재단(게이츠 재단)은 27일 500만달러를 제공하는 한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을 완속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 유행병학, 응급관여를 실시할 수 있도록 기술과 전문가를 지원했다고 밝혔다.

 

 한국도 28일 마스크 200만개와 방호복 10만벌, 보안경 10만개 등 의료용품을 중국에 보낼 계획이다.

 

 미국 휴스턴 벨러 의대 교수인 피터 호테즈는 22일 미국 텍사스대와 미국 뉴욕 혈액센터, 중국 상하이 푸단대와 공동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백신을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미국 국가위생연구원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을 연구 중이며 몇 달 뒤 1단계 임상시험이 가능해 1년 뒤에나 백신이 시장에 들어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미 언론은 전했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