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마스크 없어서 못판다...타오바오 이틀새 8000만개 판매

공급이 수요를 못 따라가, 한국제도 상당수 수입돼

 ‘우한 폐렴’이 중국 전역으로 확산되면서 마스크가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 타오바오에서 이틀새 8000만개나 팔려나갔지만,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면서 생산업체는 비상이다.

 

 20일과 21일 이틀간 중국 타오바오에서 마스크 8000만개가 판매되었다. 타오바오는 마스크와 소독액, 손 세정제 등 보호용품을 전국 소비자들이 제때 사용할 수 있도록 공급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타오바오측은 마스크를 구매 못한 소비자들에게 양해를 구했다. 현재 마스크 생산업체는 몰려드는 주문에 춘제(음력설) 연휴를 포기하며 생산에 몰두하고 있다. 심지어 일부 생산업체는 5배 월급을 지급하며 생산자들에게 설날 야근 연장근무를 요청했다.

 

 이와 함께 택배 배송원도 선 연휴를 쉬지 않고 더 많은 소비자들에게 마스크를 최대한 빨리 배송하기로 했다.

 

 타오바오 측은 설 연휴 동안 전국의 거의 300개 도시에서 소비자들이 티몰에서 구입한 마스크를 모두 출하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마스크를 구입할 때 소비자는 '설날 발송'을 기재한 업체를 선택해 설 기간에 물건을 받을 수 있다.

 

 타오바오에서 판매되는 마스크에는 한국제도 상당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판매 제품은 어린이용과 성인용, 공업용 방진 마스크 등 다양하다. 주로 보따리상이 한국에서 사서 중국으로 보낸 것으로 보인다.  

 

 한편, 최근 각종 온라인 쇼핑몰의 마스크 등 물품 구입에 비상이 걸렸다. 타오바오 외에도 택배 배송 시스템은 전국의 널리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비상조달 차량을 긴급조율하고 새벽 운송하며 티몰 소비자에게 마스크 공급을 보장하고 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