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金裕贞的《山茶花》03]

 


       “我”真的搞不懂典顺儿。“我”和家人刚来到这里,没地没房的,都不知道怎么生存的时候,是典顺儿的父亲借给我们土地,让我们盖上房子、种地种菜,在这个村里扎下根来的。前两年天气干燥,“我”家的庄稼长不出来的时候,也是典顺儿家借粮食给我们吃的。所以,“我”的父亲和母亲对典顺儿家赞不绝口、感激不尽,有时候又战战兢兢、客气至极,“我”母亲时时提醒“我”不要与典顺儿走得太近,免得惹典顺儿家不高兴,害他们失去房和地。
       典顺儿对“我”的爱意很纯真,但现实没有那么简单,正如作者金裕贞的人生与爱情故事一样,纯粹的爱情很难斗过残酷的现实。

       金裕贞的人生路上有太多的坎坷。幼年失去了母亲,随即父亲也离开了人世。他的父亲是一位出了名的大地主,留下了很多财产,但他的大哥是个败家子,还没等到金裕贞长大成人、能够继承遗产,就已经倾家荡产,他只能住在不太亲的一些远房亲戚家。有一天,他对名为“朴绿珠”的女人一见钟情,陷入爱情无法自拔,但贫穷又病怏怏的他,无法向她表达出自己的爱意,只能深藏在心里,最后一人孤独地死去。

       小说里“我”的情况与金裕贞有些相似,他虽然不太明白典顺儿为什么要这么欺负“我”家的鸡,但他隐约知道典顺儿对他的好意。大老远地跑过来,特意送他蒸土豆的时候,捧着热乎乎的土豆的小手和红润的脸颊很美,美得让他心里有些痒痒。但就算如此,他也不能跟典顺儿有任何发展,千万不能让家人因为他没了房和地。所以他一直躲着典顺儿,但这丫头竟然拼了命似的欺负“我”家的鸡,不断地挑战“我”的底线。

金裕贞的文学大多以农民为主人公,用地道又幽默的语言讲述他们艰辛的生活。作者《山茶花》中没有直接描述主人公的贫穷生活,但通过“我”与典顺儿的感情互动,间接地描写着社会下层阶级的一些坎坷的生活。即使典顺儿的父亲对“我”家很是友善,也无法容忍自己的宝贝女儿与佃农家的儿子有瓜葛吧。
       那“我”得怎么办啊?再这样下去“我”家的公鸡就会被啄死的。


笔者 金新星


사회

더보기
중 아파트 관리 남으면 환급 조치해 인기
‘아파트 관리비, 남으면 환급해준다!’ 한국에서는 상상도 하기 힘든 일이다. 하지만 중국에서는 조금씩 일상이 되는 현상이다. 중국 매체들은 ‘아파트 관리금 환급’ 현상에 대해 “사회 경제의 최고 가치인 ‘투명성’이 빛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청두시 진뉴구의 한 아파트 단지가 입주민들에게 남은 관리비를 환급해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보도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난퉁, 쿤밍 등 여러 지역에서도 일부 아파트 단지가 공공수익을 현금이나 관리비 차감 방식으로 입주민들에게 돌려준 사례가 있었다. 아파트 단지의 관리비 잉여금 환급 여부는 관리비 산정 방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중국의 「관리서비스 요금 관리방법」에 따르면, 입주민과 관리회사 간에는 ‘포괄정액제(包干制)’ 또는 ‘성과급제(酬金制)’ 등의 방식으로 관리비를 계약할 수 있도록 규정돼 있다. 포괄정액제의 경우, 입주민은 관리회사에 일정한 금액의 관리비를 지불하고, 그에 따른 흑자나 적자는 모두 관리회사가 책임지며, 관리비는 회사의 수입으로 처리되어 입주민이 ‘돈이 어디에 쓰였는지’ 알기 어려운 구조다. 반면 성과급제의 경우 미리 걷은 관리비 중 약정된 비율이나 금액을 관리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