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17年夏季最HOT凉鞋,别说你没有“清凉舒适+精致华丽”

       炎热天气来袭,清凉舒适的凉鞋就成了女性们最爱的单品。不同于只强调“时髦”的往年,2017年的夏季,“舒适+显气质”是凉鞋流行趋势的关键词。2017年新款凉鞋流行趋势来也!

 

       彰显崭新色彩组合的Salvatore Ferragamo凉鞋

Jillstuart New York推出的鱼嘴穆勒鞋,束带设计宽松地包裹住脚背

在路易威登Lock It Flat Mule上采用的经典锁状吊饰         

 

具有清凉感的塑料材质和突出花朵装饰的miu miu拖鞋

 

       ​还没有真正入夏,街上的时尚达人们,就早早地穿上了凉鞋。受了从上一季开始流行的“Normcore风格”及“运动休闲风格”的影响,时尚界的新宠将会是“舒适的鞋子”。继2017年春夏季流行的中跟鞋(Kitten Heels)之后,今年夏季,比起让脚腕疼痛的高跟,人字拖、平底凉鞋、拖鞋、穆勒鞋等鞋跟适度、穿着舒适的凉鞋款式更有人气。

       “穆勒鞋(mules)”是指包裹着脚背不露脚趾,只露脚跟的鞋子,有平底、中跟、高跟等多种款式。随着今年夏季的超短裤流行,穆勒鞋也再次被推上了潮流的舞台。去年夏季,复古风盛行,简约风格的穆勒鞋也随之流行,但今年几何学图纹或鞋跟特别的穆勒鞋成为了新的潮流。韩国第一个由设计师打造的女鞋品牌“Suecomma Bonnie”,推出了特别的方形跟穆勒鞋,无论是搭配休闲的牛仔裤,还是时髦的宽腿裤,都非常合适。“Jillstuart New York”则推出了新款鱼嘴穆勒鞋,由柔软细腻的头层牛皮制作,表面的束带设计特别,衬得慵懒的拖鞋更显高级。

       今年夏季,拖鞋将成为鞋类最流行单品之一。继2016年流行的“Bloafer”之后,鞋子的鞋面部分露脚趾头,脚跟部也露出来的拖鞋款式很有人气。“Bloa fe r”是由意为“没有后面”的“Backless”和意为“低跟皮鞋”的“Loafer”两个单词合并而成的,是前面似乐福鞋,后面却像拖鞋一样裸露着的皮鞋。香奈儿、迪奥、Miu Miu等奢侈大品牌也相继推出了新款拖鞋,鞋面设计高端优雅,使用了皮革、毛绒等高级材质,比如香奈儿选用了经典的链子装饰,LV则用了经典的锁状吊饰,突出了奢侈大品牌特有的风格。
       虽然拖鞋崇尚舒适和自由,但与其搭配的服装不能完全追求舒适、休闲。如果把拖鞋与慵懒的运动服搭配在一起,反而会让拖鞋的魅力大大减半。如果想要塑造出时髦的风格,女性可以在漂亮的裙子下,搭配低跟的拖鞋;男性可以在端庄的宽松裤与衬衫下搭配拖鞋。

 

                          

在Valentino 2018年度假系列时装秀中,“袜子+凉鞋”的造型引人注目            Dolce & Gabbana在2017春夏时装秀上展示的花纹胸花拖鞋

具有独特方形鞋跟的Suecomma Bonnie凉鞋 

       舒适地环住脚腕与脚背的一字带凉鞋,不管是连衣裙还是超短裤,都搭。一字带凉鞋,从纽扣式到透明带式,再到显腿长的设计,款式多种多样。其中,环住脚腕的束带款式会显得腿又瘦又长。
       坡跟凉鞋是后面的高跟连着前面的高跟鞋。坡跟鞋虽然属于高跟鞋,但与细跟高跟鞋不同,坡跟鞋前脚掌下也有一定的高度,走路不太累。尤其是鞋底有软垫的款式,穿时间长了也不会不舒服。今年夏季,选用木制、草边帆布、软木等自然风格,图纹华丽,以及布料色彩鲜艳的坡跟鞋非常流行。
       今年夏季,光脚穿凉鞋已经out了,加双袜子才是时尚的王道。之前“袜子加凉鞋”被认为是老土的穿法,但今年,无论是街头风还是在T台上,都能看到“袜子+凉鞋”的造型。今年5月,在美国纽约市举办的高级时装品牌“Valentino”的“2018年度假系列”走秀中,就出现了袜子加凉鞋的组合。模特们穿上白色的运动袜,再配上一字带凉鞋,走在T台上。时尚界评价“Valent ino”如此大胆的时尚改革,是“展现Sporty(运动休闲)与Elegant(高级优雅)共存可能性的案例”。人气超模Kendall Jenner(肯达尔·詹娜)近期在戛纳电影节上也秀出了“丝袜+凉鞋”的组合,她穿的是时髦的九分丝袜。裸色的丝袜与凉鞋组合,不再是老土的穿法,而是性感的新时尚。
       美鞋是时尚的精髓。就算穿上完美的服装,若没有合适的鞋子,也无法成为真正的时尚达人。时髦舒适又与服装绝配的鞋子,突出潮流时尚感,让街上的人都眼前一亮。今年夏季,如果想要成为新一季的时尚达人,请关注一下实用又潮的各款凉鞋哦。

 

笔者 尹真姬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