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빙상연맹, 스피드 대표팀 코치로‘토리노 금메달리스트’ 밥 데 용 영입

한국 스피드스케이팅 대표팀이 2002 토리노 동계올림픽 금메달리스트 밥 데 용(Bob de Jong, 네덜란드)을 어시스턴트 코치로 선임했다. 대한빙상경기연맹은 스피드스케이팅 장거리 개인종목을 강화하기 위해 네덜란드 대표 출신 데 용을 어시스턴트 코치로 영입했다. 데 용 코치는 내년 2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이 끝날 때까지 대표팀 코칭을 지원할 계획이다.

데 용 코치는 21년 동안 선수생활을 하면서 올림픽에 4번 출전해 1m 금메달 1개를 포함해 총 4개의 메달(은메달 1, 동메달 2)을 획득했다. 세계종목별선수권에서도 1m 5차례, 5000m 2차례 우승 경험이 있다.

한국은 최근 이상화(스포츠토토), 차민규(동두천시청), 김진수(강원도청), 김태윤(서울시청) 등 단거리와 이승훈(대한항공), 김보름(강원도청)의 매스스타트, 그리고 팀추월 등에서 좋은 성적을 거뒀다. 하지만 1500m, 5000m, 1m 등 장거리 개인종목은 상대적으로 부진한 상황이다. 이에 빙상연맹은 최근까지 선수생활을 했고 테드 얀 블로먼, 요릿 베르흐스마 등 유명 선수들에게 조언자로서 많은 도움을 준 데 용 코치 영입을 추진했다. 빙상연맹은 데 용 코치가 선수들과 함께 직접 스케이팅도 함께 하며 도움을 주고 싶다고 할 정도로 의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기대했다.

 

데 용 코치는 평창올림픽이 개최되는 한국 대표팀 코치직을 맡게 돼 영광이다. 내가 가진 기술, 전술 등경기 관련 경험과 지식을 최대한 선수들에게 전달해 목표를 달성하는데 기여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 news1

 

글 = 윤진희  출처 = 평창동계올림픽조직위원회


사회

더보기
중 상하이시 출산장려를 위해 사측 납입 사회보험액의 6개월치 50%를 회사에 되돌려 주기로
중국 상하이시가 여 직원이 출산휴가를 쓰는 경우, 회사에게 납입했던 고용보험 등 사회보험료 6개월분의 50%를 지원키로 했다. 여성들이 보다 자유롭게 출산 휴가를 쓸 수 있도록 하는 조치다. 이번 제도 실시로 출산 등을 우려해 여성 고용을 주저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1징지왕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상하이시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여성 직원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기간 중 고용주의 사회보험 지원금 지급에 관한 통지"(이하 통지)를 공표했다. 이번 통지는 시 인적자원사회보장국을 비롯한 5개 부서가 공동으로 서명했다. 중국 매체들은 “새로운 정책은 정부, 사회, 기업이 참여하는 출산 비용 분담 체계를 구축하고 "아동 친화적" 정책의 가치 지향성을 더욱 강화하는 것을 목표”라며 “’아동 친화적 일자리‘와 ’출산휴가 사회보장금‘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여성의 취업 장벽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통지는 2025년 1월 1일부터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시행하고 고용보험 등 사회 보험료를 납부한 경우 바로 신청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지원 기준은 출산휴가 및 육아휴가 기간 동안 여성 근로자의 기초연금보험, 기초의료보험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