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일 관계, 너 속에 내가 있고, 내 속에 네가 있다."

환구시보, 23일자 사설을 통해 중일 관계 발전의 잠재력이 발휘되야 한다며

"중일 관계, 내 속에네가 있고, 네 속에 내가 있다!"

23일 환구시보가  '중일 무역, 새로운 성장점은 어디있는가?'라는  제목의 사설을 통해  중일 무역 관계는 국제 분업화에서 서로의 이익을 추구하는 데 있다며 주요 협력 사항으로 부품 산업과 생산 설비산업에서의 협력 등을 꼽았다.

특히 이 같은 협력의 원칙에서 중일은 금융 물류 등 제3 시장의 개척, 서비스 산업에서 협력, 중국 시장에서 부족한 기술부분에 대한 협력, 전자화폐 등의 업종에서 양국은 서로의 협력을 통해 공동의 이익을 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과 일본이 이렇게 다가 서면 불리한 나라가 바로 우리나라다. 이런 상황 속에서 우리는 현재 일본과 낭비적인 경제 전쟁을 벌이고 있다. 나라의 운명이 갈수록 위태해지고 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