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마윈, 항저우 습지 보호에 1억위안 기부

마윈이 또다시 거액을 기부했다. 이번에 기부하는 1억 위안은 고향인 항저우 습지를 보호하는데 사용될 예정이다. 마윈의 고향 사랑을 엿볼 수 있다.

 

마윈공익재단은 최근 항저우시 위항구 자선총회에 1억위안을 기부했다. 이 기부금은 서계습지(西溪湿地)의 생태환경 연구 및 보호에 사용된다.

 

알리바바 전 회장인 마윈은 기부식에서 "오늘 계약은 우리의 첫걸음일 뿐이다. 세계 최고의 생태전문가들이 함께 참여해 서계습지를 뉴욕 센트럴파크처럼 만들어 보자"고 말했다.

 

항저우의  서계습지는 2009년 국제중요습지목록에 등재됐다. 주변 인구의 증가와 관광업의 발전에 따라 어떻게 하면 서계습지의 생태환경보전과 인간생활의 균형을 더 잘 이룰 수 있을지가 중요한 과제가 됐다.

 

마윈은 항저우인으로서 고향에 대한 '투자'로 꽤 알려져 있다. 2015년 마윈은 모교 항저우사범대학에 1억위안을 기부해 '항저우사범대학 마윈교육기금'을 설립했다. 2015년 마윈 및 알리바바 파트너는 10억위안 가까이 출자해 항저우에 운곡학교(云谷学校)를 개교했다. 2017년 마윈 및 파트너는 5억6000만위안을 투자해 저장대병원에 의료발전 지원했다.

 

 

<웨이보 댓글>

 

사회를 행복하게 하는 양심적인 기업가이다!!

 

마윈 감사합니다.

 

드디어 누군가가 나섰다. 서계습지의 디자인과 운영은 그의 명성과 잘 어울리지는 않는 것 같다.

 

우리 돈으로 자신의 명성을 떠받네... 마윈은 진짜 쓰레기다

 

항저우 화이팅!


사회

더보기
중 아파트 관리 남으면 환급 조치해 인기
‘아파트 관리비, 남으면 환급해준다!’ 한국에서는 상상도 하기 힘든 일이다. 하지만 중국에서는 조금씩 일상이 되는 현상이다. 중국 매체들은 ‘아파트 관리금 환급’ 현상에 대해 “사회 경제의 최고 가치인 ‘투명성’이 빛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청두시 진뉴구의 한 아파트 단지가 입주민들에게 남은 관리비를 환급해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보도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난퉁, 쿤밍 등 여러 지역에서도 일부 아파트 단지가 공공수익을 현금이나 관리비 차감 방식으로 입주민들에게 돌려준 사례가 있었다. 아파트 단지의 관리비 잉여금 환급 여부는 관리비 산정 방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중국의 「관리서비스 요금 관리방법」에 따르면, 입주민과 관리회사 간에는 ‘포괄정액제(包干制)’ 또는 ‘성과급제(酬金制)’ 등의 방식으로 관리비를 계약할 수 있도록 규정돼 있다. 포괄정액제의 경우, 입주민은 관리회사에 일정한 금액의 관리비를 지불하고, 그에 따른 흑자나 적자는 모두 관리회사가 책임지며, 관리비는 회사의 수입으로 처리되어 입주민이 ‘돈이 어디에 쓰였는지’ 알기 어려운 구조다. 반면 성과급제의 경우 미리 걷은 관리비 중 약정된 비율이나 금액을 관리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