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EU, 스위스·아랍에미리트 조세피난처 블랙리스트 제외

알바니아, 코스타리카, 모리셔스, 세르비아 등은 회색 명단 삭제

오는 10일 열리는 EU 재무장관 회의에서 스위스와 아랍에미리트 등이 조세피난처 블랙리스트나 그레이리스트에서 제외된다.
 
보도에 따르면 EU는 2017년 조세피난처 블랙리스트와 그레이리스트를 발표했는데, 다음 주 열리는 EU 재무장관 회의에서 아랍에미리트와 스위스, 마셜제도 등이 블랙리스트에서 삭제될 예정이다. 이 밖에 알바니아, 코스타리카, 모리셔스, 세르비아 등도 그레이리스트 명단에서 삭제된다.

스위스는 세입 규칙을 변경하고 유럽연합의 표준을 따르기로 약속했다. 스위스는 지난해 세제 개혁이 통과됐는데, 유럽연합이 요구하는 새로운 세법이 2020년에 발효될 예정이다.

블랙리스트에는 여전히 10개가 넘는 국가나 지역이 있다. 그 중에 미국령 사모아, 괌,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베리스, 도미니카, 피지, 오만, 사모아, 트리니다드토바고와 바누아투 등 국가가 포함된다.
 
블랙리스트에 오른 나라들은 유럽연합과의 거래에서 나쁜 평판을 받고 더 엄격하게 통제된다. EU는 정기적으로 체크리스트를 검토하여 새로운 지역을 수정하거나 추가하는 것을 고려할 것이다.
 
유럽연합의 조세피난처 그레이리스트에는 세계 수십 개 사법관할구가 포함되며, 주로 케이맨 제도, 터키, 바하마 그리고 버뮤다 등이 포함된다. 이들 국가나 지역이 정해진 기한 내에 약속을 이행하지 못하면 블랙리스트에 오른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