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고속철 놀라운 발전

고속철 총길이 2만9000㎞…전세계 고속철도 길이 60% 달해

중국은 고속철 개발과 건설에 뒤늦데 뛰어들었지만 시공 능력과 운영 등에서 현재 최고의 국가로 손꼽히고 있다. 세계은행도 중국 고속철의 발전 경험을 주목하며 극찬을 할 정도다. 한마디로 '고속철 굴기'다.

 

중국 고속철은 자동차와 항공에 비해 경쟁 우위를 확보하고 있으며, 티켓 가격은 다른 나라 기본요금의 4분의 1에 불과해 각 소득계층의 승객을 끌어 들이고 있다.

 

 

중국 언론 AI재경공사 2000년대 초 중국 철도여객시스템은 기차 평균 시속 50여 ㎞밖에 달릴 수 없었지만 지난해 중국 고속철은 국제적으로 놀라운 성적을 거두었다고 5일 보도했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 말 중국 철도 총길이는 13만1000㎞로 1949년 말에 비해 5배나 증가했고, 이 가운데 고속철도 총길이는 2만9000㎞에 달해 전 세계 고속철 총량의 60%를 차지했다.

 

2008년 6월 24일 베이징 남역에서 출발한 허시에호(和谐号)는 바람처럼 톈진으로 향했다. 열차 모니터의 숫자가 계속 뛰기 시작해 15분 만에 열차는 시속 394.3㎞를 나타냈다. 이것은 중국 궤도교통 최고기록이다.

 

세계은행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은 2000년에 독일을 제치고, 당시 세계에서 제3위 규모의 제조업 국가가 되었고, 2006년에 일본을 넘고, 2010년 미국을 제치고 세계 최고의 국가가 됐다.

중국 고속철, 궤도교통차량 제조 선두업체인 중국 중차의 연보에 따르면 2018년 해외 약 70개 국가에서 영업수익을 올렸는데, 이 중 기관차, 버스 주문은 주로 아프리카와 미주에 이뤄졌고, 도시 궤도는 주로 아시아와 호주에서 이뤄졌다. 연간 매출은 2190억8300만위안, 순이익은 113억500만위안이다.

 

중국 남북을 잇는 또 다른 고속철 노선인 베이징·상하이 고속철은 영업이익이 좋다. 영업이익은 2013년 182억위안에서 2017년 296억 위안으로, 연평균 복합성장률은 13% 가까이, 순이익은 12억9000만위안 적자에서 127억위안 흑자로, 채산성은 마이너스에서 42.9%로 전환됐다. 베이징·상하이 고속철은 '중국에서 가장 돈을 많이 버는 고속철'로 불린다. 2018년 베이징상하이 고속철 매출은 300억위안을 돌파했다.


사회

더보기
중 아파트 관리 남으면 환급 조치해 인기
‘아파트 관리비, 남으면 환급해준다!’ 한국에서는 상상도 하기 힘든 일이다. 하지만 중국에서는 조금씩 일상이 되는 현상이다. 중국 매체들은 ‘아파트 관리금 환급’ 현상에 대해 “사회 경제의 최고 가치인 ‘투명성’이 빛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청두시 진뉴구의 한 아파트 단지가 입주민들에게 남은 관리비를 환급해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보도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난퉁, 쿤밍 등 여러 지역에서도 일부 아파트 단지가 공공수익을 현금이나 관리비 차감 방식으로 입주민들에게 돌려준 사례가 있었다. 아파트 단지의 관리비 잉여금 환급 여부는 관리비 산정 방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중국의 「관리서비스 요금 관리방법」에 따르면, 입주민과 관리회사 간에는 ‘포괄정액제(包干制)’ 또는 ‘성과급제(酬金制)’ 등의 방식으로 관리비를 계약할 수 있도록 규정돼 있다. 포괄정액제의 경우, 입주민은 관리회사에 일정한 금액의 관리비를 지불하고, 그에 따른 흑자나 적자는 모두 관리회사가 책임지며, 관리비는 회사의 수입으로 처리되어 입주민이 ‘돈이 어디에 쓰였는지’ 알기 어려운 구조다. 반면 성과급제의 경우 미리 걷은 관리비 중 약정된 비율이나 금액을 관리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