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货水盆06]

 


       夫人心里很乱,下不了决心,想了很久,还是想试探一下大女儿,于是就带着大女儿去见了米店家老妈说的富裕人家的太太。那位太太似乎很满意,大女儿的反应也是出乎意料。大女儿光顾着吃太太给的糖饼、烤板栗、柿子等小吃,看也不看一眼自己的母亲。
       这时,夫人紧张地问了大女儿:“那你要跟着那位太太一起生活吗?我不一起走,我会回家。”大女儿不怎么理睬自己的母亲,快速地点了点头。夫人还是放不下心,又问了一次。大女儿就狠狠地瞪着自己的母亲,大叫着说:“我想跟着这个太太走,不用担心我,你走吧。”听到这句话,夫人也终于狠下心来,把孩子留下,一个人回到家,开始找货水盆,想商量“过继”的事情,然而,还没找到货水盆,大女儿已经跟那位贵妇走了,太太只留下“想见女儿的话,可以来江华岛,也可以在那里种田生活”一句话。
       夫人的心像被撕碎了一样难受,都不知道自己还能干什么,只是在庭院里愣愣地走来走去。外出干活到傍晚才回家的货水盆,一听到大女儿走了的事情就开始嚎啕大哭。货水盆不知道该如何表达自己内心的悲哀和痛苦,只能哭。倒叙到这里,小说又回到了开头。开头里主人家的“我”所听到的货水盆的哭声,是因为这个。
       虽然货水盆心如刀割,但生活还是要继续的。小说中的时间无情地流逝,货水盆家慢慢安顿下来,货水盆也似乎从失去女儿的悲痛里走了出来,但没过多久,另一个悲剧就迎面而来了。
        货水盆乡下的二哥“巨富”不小心受了伤,一直卧床不起,无法下地干活儿。货水盆听到这消息后,决定回乡一段时间去二哥家的地里帮忙。由于二女儿比较小,货水盆把夫人和女儿都留在主人家,先自己回乡了。货水盆临走前和夫人约好了,入冬之前回来。
       货水盆的二女儿只有两周岁,可能是因为营养不良,到现在还没开口说过话,只发出又吵又难听的哭闹声。二女儿的性格和大女儿一样,非常倔强,并且很难缠。夫人背了二女儿一整天,直到后背酸疼,才试着将二女儿放到房里,身体还没着地,二女儿就哇哇大哭起来,哭得可以让整个村子地动山摇了。
       然而,这样的哭声,并不能掩盖货水盆一家的穷。

 

 

 

笔者 金新星


사회

더보기
중 아파트 관리 남으면 환급 조치해 인기
‘아파트 관리비, 남으면 환급해준다!’ 한국에서는 상상도 하기 힘든 일이다. 하지만 중국에서는 조금씩 일상이 되는 현상이다. 중국 매체들은 ‘아파트 관리금 환급’ 현상에 대해 “사회 경제의 최고 가치인 ‘투명성’이 빛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청두시 진뉴구의 한 아파트 단지가 입주민들에게 남은 관리비를 환급해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보도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난퉁, 쿤밍 등 여러 지역에서도 일부 아파트 단지가 공공수익을 현금이나 관리비 차감 방식으로 입주민들에게 돌려준 사례가 있었다. 아파트 단지의 관리비 잉여금 환급 여부는 관리비 산정 방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중국의 「관리서비스 요금 관리방법」에 따르면, 입주민과 관리회사 간에는 ‘포괄정액제(包干制)’ 또는 ‘성과급제(酬金制)’ 등의 방식으로 관리비를 계약할 수 있도록 규정돼 있다. 포괄정액제의 경우, 입주민은 관리회사에 일정한 금액의 관리비를 지불하고, 그에 따른 흑자나 적자는 모두 관리회사가 책임지며, 관리비는 회사의 수입으로 처리되어 입주민이 ‘돈이 어디에 쓰였는지’ 알기 어려운 구조다. 반면 성과급제의 경우 미리 걷은 관리비 중 약정된 비율이나 금액을 관리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