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货水盆02]


       那一夜,天格外地冷。后来,有一位老人描述那个寒冷的夜晚说道:“人老啦,都忘了是什么年份,但我始终记着那个夜晚,从来没有过的凄冷,天寒地冻、雪虐风饕。”寒风像刀一样,狠狠地敲打着门窗。那一夜,小孩子因害怕大风吹起的声音而呜呜哭闹,大人们因担心已经上路的亲人而无法入眠。


       到了第二天早晨,威武的冬将军终于被温暖的太阳感化。卖柴人穿上厚厚的棉袄,开始慢悠悠地向山顶爬去。卖柴人的脸颊上拂过的冬风还有些寒冷,但松叶间隙照下的是灿烂的阳光。这时,卖柴人看到不远处的松树下有什么正挪动着。


       “小动物?”


       卖柴人嘀咕了一声,慢慢靠近那棵松树,仔细一看,是个小孩子,正背对着卖柴人。卖柴人慢慢靠近,小孩却没察觉,头也不抬。穿着破旧衣服的小孩儿,看似刚从睡梦中醒来,神态有些木讷,又有些放空。那个小孩儿嘴里呵着哈气,正在努力踢着什么东西。卖柴人走近一看,是一对死去的年轻男女。


       “应是这孩子的父母吧,小孩儿运气够好的。”


       卖柴人走上前,像是行双手合十礼一样合了一下手,看着那对夫妇身边站着的小孩儿。年幼的孩子似是不知道在她父母身上发生的悲剧,一脸天真烂漫。卖柴人上前握住孩子的小手,轻轻地拉着小孩儿走,孩子头也不回地就跟着走了。卖柴人带着孩子,慢慢地走下山。

 

       这是小说的结尾。这部分的描写,极其地淡然、无心。然而,这淡淡的描写反而突出了那个夜晚的寒冷,以及在小说的主人公夫妇身上发生的悲剧。这种“淡淡的悲剧”,让读者觉得更加写实。

 

 

 


笔者 金新星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스스로 꼽은 3대 관광지, '만세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은 중국 관광지 ‘빅3’다. 베이징과 상하이 등도 중국 10대 인기 관광지에 포함됐다. 중궈신원왕 등에 따르면 메이투안 여행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 여름휴가 핫스폿 및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여름철 국내 인기 관광지는 베이징, 상하이, 시안, 난징, 청두, 광저우, 정저우, 충칭, 뤄양, 항저우 등이었다. 인기 관광지 TOP3는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이 차지했다. 보고서는 서북, 동북, 서남 지역의 여러 성(省)에서 관광 열기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지린, 헤이룽장, 랴오닝, 신장 등은 ‘피서 여행 고속 성장 지역’으로 떠올랐다. 목적지 분포로 보면, 1·2선 도시가 여전히 선도했고, 베이징·상하이·시안이 인기 목적지 1~3위를 차지했다. 이들 도시는 중국인들의 인기 관광 목적지로 부동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동시에 하위 도시 시장의 열기도 가파르게 상승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대 이후 세대의 젊은 관광객들이 소규모·특색 있는 관광지로 깊이 들어가 새로운 여행 방식을 발굴했다. 메이투안 여행이 발표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