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브라질·아르헨티나, 돼지고기 중국 수출 ‘활짝’

캐나다·호주는 울상…러시아, 자국 공급 과잉으로 수출 준비중

아프리카돼지열병으로 중국 내 공급 부족으로 가격이 치솟고 있는 가운데 브라질과 아르헨티나가 돼지고기 수출 강국으로 떠올랐다. 캐나다도 한때 수출국이었지만 잔류 약물 검사로 수출이 중단돼 울상이다.

중국 소비시장이 커지면서 그 진출 여부에 주요 국가가 웃고 울고 하는 것이다.

과거 중국 봉건 왕조부터 보여줬던 시장 파워다. 역사적으로 몽골은 명나라 황제를 인질로 잡고도 조공을 할수 있게 해달라고 간청했다. 중국 시장에 가야 제대로 된 물건을 사고 팔수 있었기 때문이다. IT첨단 시대를 맞아 중국이 새롭게 이 시장파워를 구가하고 있다.

 

중국 본토 언론의 해외정보사인 OIA는 5일 중국 측 세관부서가 캐나다산 돼지고기에서 렉도파민 잔류를 확인함에 따라 캐나다 측에 해당 업체의 돼지고기 제품 수출을 즉각 중단하고 추가 조사를 요청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라 캐나다산 돼지고기는 중국 내에서 판매가 어려울 전망이다.

 

호주도 지난 2월 중국에 돼지고기를 수출하다고 발표했지만 시장 진입에 실패했다. 이는 중국의 주요 쇠고기 공급국인 호주인데, 호주가 돼지고기를 수출하다는 것 자체가 중국 인민들에게 크게 어필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와 달리 브라질과 아르헨티나는 중국에서 입지를 굳혔다. 지난 8월 브라질 돼지고기 수출이 연중 최고를 기록했다. 수출된 돼지고기는 총 6만7900t으로 이 중 3분의 1을 중국 바이어가 사갔다. 브라질은 다른 농산물 수출에서도 중국 바이어로부터 이득 받았다.

 

아르헨티나가 그 뒤를 이었고 대량의 중국 돼지고기 주문을 받았다. 지난 7월 아르헨티나에서 첫 번째 300t의 중국 돼지고기가 출하됐으며 올해 안에 1만8000t에 이를 전망이다.

 

러시아도 중국 진출을 시도하고 있다. 대량의 콩 주문을 받은 후 러시아 기업들은 오래 전에 부터 움직이고 있다. 중국 돼지고기 시장에도 눈독을 들이고 대량의 돼지고기를 중국에 수출하려 한다. 그러나 아직 공급 허가를 받지 못했다.

 

러시아 기업들은 중국 시장을 만족시키기에 충분한 수출량이 있다고 말한다. 현재 러시아 돼지고기 시장의 공급 과잉 때문이다. 러시아 돼지고기는 양적으로나 가격에 있어서 다른 나라보다 우위에 있다.


사회

더보기
중 상하이시 출산장려를 위해 사측 납입 사회보험액의 6개월치 50%를 회사에 되돌려 주기로
중국 상하이시가 여 직원이 출산휴가를 쓰는 경우, 회사에게 납입했던 고용보험 등 사회보험료 6개월분의 50%를 지원키로 했다. 여성들이 보다 자유롭게 출산 휴가를 쓸 수 있도록 하는 조치다. 이번 제도 실시로 출산 등을 우려해 여성 고용을 주저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1징지왕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상하이시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여성 직원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기간 중 고용주의 사회보험 지원금 지급에 관한 통지"(이하 통지)를 공표했다. 이번 통지는 시 인적자원사회보장국을 비롯한 5개 부서가 공동으로 서명했다. 중국 매체들은 “새로운 정책은 정부, 사회, 기업이 참여하는 출산 비용 분담 체계를 구축하고 "아동 친화적" 정책의 가치 지향성을 더욱 강화하는 것을 목표”라며 “’아동 친화적 일자리‘와 ’출산휴가 사회보장금‘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여성의 취업 장벽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통지는 2025년 1월 1일부터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시행하고 고용보험 등 사회 보험료를 납부한 경우 바로 신청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지원 기준은 출산휴가 및 육아휴가 기간 동안 여성 근로자의 기초연금보험, 기초의료보험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