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排打罗其02]


       “排打罗其”对于现代的韩国人是一个陌生的词,意为“船离开(港口)”。古朝鲜时代的实用学者朴趾源的《汉北行程录》中有记录:“我国的《乐府》中就有一首歌曲叫做‘排打罗其’。‘排打罗其’是方言,意为‘船离’。歌曲旋律极其悲伤。”歌词一直叮嘱听歌的人,就算去讨饭也不要去做水夫。水夫就是船工。船工生活非常艰苦,但其实论起艰辛程度,讨饭也很不容易,它的区别在于有没有家人陪伴。
      在陆地,就算有非常艰难的事情,也会有家人陪伴,可以一起撑住;做水夫,必需要离开家人去海上工作,这是最为痛苦的。家人,是生命的来源。事实上,《排打罗其》的歌词体现了小说的主题:一个家庭的分崩离析。正如小说家金东仁自己的现实生活,小说《排打罗其》重点描述只能看着家庭分崩离析的束手无策的人,表达了他的后悔之心和自我怜悯之情。
       不仅金东仁一人,当时有很多人遭遇了相似的情况。那个时候,古朝鲜王朝崩溃,新的价值观开始代替传统的价值观。一个社会重新打造价值观的过程中,家庭内部开始发生不同价值观的冲突,导致分崩瓦解。当时的普通老百姓无法理解发生这种情况的真正缘由,只能怀着后悔与责怪之心,眼睁睁地看着自己的家庭瓦解,活生生地承受着妻离子散的痛苦。
       小说《排打罗其》里的每个句子都透露着当代老百姓对家人的深深愧疚和浓浓爱意。

 

 

 

笔者·画 金新星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스스로 꼽은 3대 관광지, '만세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은 중국 관광지 ‘빅3’다. 베이징과 상하이 등도 중국 10대 인기 관광지에 포함됐다. 중궈신원왕 등에 따르면 메이투안 여행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 여름휴가 핫스폿 및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여름철 국내 인기 관광지는 베이징, 상하이, 시안, 난징, 청두, 광저우, 정저우, 충칭, 뤄양, 항저우 등이었다. 인기 관광지 TOP3는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이 차지했다. 보고서는 서북, 동북, 서남 지역의 여러 성(省)에서 관광 열기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지린, 헤이룽장, 랴오닝, 신장 등은 ‘피서 여행 고속 성장 지역’으로 떠올랐다. 목적지 분포로 보면, 1·2선 도시가 여전히 선도했고, 베이징·상하이·시안이 인기 목적지 1~3위를 차지했다. 이들 도시는 중국인들의 인기 관광 목적지로 부동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동시에 하위 도시 시장의 열기도 가파르게 상승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대 이후 세대의 젊은 관광객들이 소규모·특색 있는 관광지로 깊이 들어가 새로운 여행 방식을 발굴했다. 메이투안 여행이 발표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