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애플, 인도서 판매량 늘릴 수 있을까

소매점 개설하지만 가격 높아 소비자들 외면

애플이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인도에 소매점을 개설하지만 가격 경쟁력이 떨어져 시간이 필요할 전망이다.

현재 인도의 스마트폰 시장은 샤오미와 삼성이 양대산맥을 형성하고 있다.

애플은 세계적 브랜드 가치를 형성하고 있지만, 실제 가성비와 기술에서 샤오미와 삼성에 못미치는 바가있다. 중국 전문가들은 이에 아무리 애플이라도 인도시장에서는 고전할 것이라 전망하는 것이다.

중국 시나닷컴은 30일 소매점 개장이 인도 시장에 진출하기 위한 애플의 최신 전략이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시장조사업체 IDC 조사 결과 2018년 샤오미와 삼성의 출하량은 인도 시장에서 각각 28.9%, 22.4%로 주도적이다. 그러나 애플은 상위 5위 안에 들지도 못했고, 상위 5개 회사의 인도 시장 점유율 합계는 73%에 달했다.

 

팀 쿡(Tim Cook) 애플 CEO는 2016년 인도는 인구가 많고 젊은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거대한 잠재력'을 갖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인도에서 애플은 다른 스마트폰 업체들을 따라잡기 힘들다. 인도 시장에서 뒤처지고 있는 원인은 애플 제품의 높은 가격 때문이라고 애널리스트들은 말했다.

 

2018년 인도 스마트폰 평균 판매 가격은 158달러다. 500달러 이상 휴대폰 시장의 증가 속도가 다른 가격대를 넘어야 한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삼성은 프리미엄 시장에서 애플보다 나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