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삼성 스마트폰, 2분기 유럽서 판매 1위

플래그십이 아닌 A시리즈…회사 이익은 낮을 듯
샤오미 전년比 48% 상승하며 화웨이·애플 추격

삼성이 1830만대의 스마트폰을 출하하면서 2분기 유럽시장에서 점유율 1위에 올랐다. 화웨이는 850만대의 출하량으로 18.8%의 시장점유율을 기록하면서 2위를 기록했고, 애플은 640만대로 떨어지면서 시장 점유율은 3위에 그쳤다.

13일 중국 언론 '계면'에 따르면 과학기술 분야 연구기관인 카나리스(Canalys) 집계 결과 삼성은 2분기에 유럽에서 1830만대의 스마트폰을 출하하여 시장 점유율이 41%로 크게 상승하여 1위를 차지했다. 애플의 아이폰 출하량은 전년 동기보다 17% 하락해, 640만대로 줄어든 14.1%로 3위를 차지했다.

 

삼성은 이번 출하량이 1530만대에서 1830만대로 증가했지만, 대부분이 플래그십이 아닌 중급 A시리즈 휴대폰이다. 이 시리즈는 1200만대 이상 출하됐는데, 이 중 갤럭시 A10, A20e, A40, A50의 판매량이 많았다. 이런 탓에 삼성은 스마트폰으로 돈 벌 생각이 별로 없는 듯이 보인다.

카나리스 선임 애널리스트인 벤 스탄톤(Ben Stanton)은 “삼성은 유럽 시장에서 시장 점유율을 지속적으로 낮추는 것을 더 이상 참을 수 없다”며 “2018년 하반기부터 2019년 초까지 삼성이 족쇄를 깨고 시장 점유율을 되찾는 게 전략적으로 중요하다”고 말했다.

 

애플 쪽 생각은 다를 수 있다. 유럽에서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하락이 회사의 주목을 끌겠지만, 애플의 관심은 단위 판매가 아닌 이익력에 쏠려 있다.

 

중국 휴대전화 브랜드 중 화웨이는 850만대 출하량 18.8%로 삼성과 애플 사이에 있다. 샤오미는 이번 분기 430만대로 4위에 올라 시장 점유율이 전년 동기 대비 48%나 뛰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