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축구의 요람 수원, 축구 박물관에 꼭 들러야…

 

 

이제 수원을 떠나 또 다른 축구 도시 성남을 찾을 차례다. 그러나 축구 사랑이 넘치는 곳 수원을 쉽게 떠나기가 쉽지 않다. 수원을 찾는 축구팬이라면 꼭 들러야 할 곳이 있기 때문이다. 바로 수원종합경기장내에 위치한 수원축구박물관이다.

본래 박물관은 2002년의 한일 월드컵 경기의 성공을 기념하기 위해서 조성됐다. 수원은 2002년 한일월드컵 경기가 열린 곳인 데다 영국 프리미어리그에서 맹활약 중인 박지성 선수를 배출한 축구의 고장이다. 박물관 역시 이 같은 특징을 잘 보여준다. 2002년 한일월드컵 당시 이탈리아를 격침시킨 안정환 선수의 골든볼과 박지성 선수의 유럽 챔피언스리그 우승 메달 등 우리나라 축구 역사의 감동과 영광을 한자리에서 느낄 수 있다. 이곳이 한국 최초의 축구 박물관이다.

 

축구박물관은 당초 2003 7, 600㎡의 면적에 5개의 전시관과 1500여 점의 사료를 가지고 개관했다. 당시 이름은 월드컵기념관이었다. 이후 2007 500여 점의 사료를 추가하고, 전시공간을 새롭게 늘리면서 축구박물관으로 개명을 했다. 지금은 총 전시면적이 688㎡ 가량이다. 이전보다 약 100㎡ 가까이 큰 수치다. 전시관도 당초 5개에서 8개로 늘었다. 전시된 사료만 2000여 점에 달한다

 

 

 

수원축구박물관은 대한축구협회 등 관련 기관, 단체에서 축구의 사료적 가치를 알리는 데 가장 충실한 박물관으로 인정받고 있다. 규모나 사료 수에서 한국 최고다. 축구박물관에는 ▶2008FIFA뉴질랜드U-17여자월드컵을 우승한 북한선수들의 북한 사료관 ▶1954년 스위스월드컵 관련 한일전 예선전 포스터와 고() 김용식 선생의 친필 작전 메모와 스위스월드컵 입장권 등의 사료관 등이 있다. 또 세계축구 이야기관으로 세계 축구 역사 속의 한국이라는 주제의 사료관에는 ▶1966년 잉글랜드월드컵 팸플릿허정무 국가대표 감독의 아이트호벤 시절 유니폼이 전시돼 있다.

 

한국축구역사관은 19세기 말 한국에 축구가 처음 들어온 후부터 현재까지의 축구 역사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한국 최초의 축구화(1882)를 비롯, 일제시대 축구 관련 사진, 월드컵에 최초 진출한 스위스월드컵(1954) 기록, 시대별 각종 축구공, 유니폼 등 축구용품, 2002월드컵 안정환골든볼 등을 볼 수 있다.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에서 뛰고 있는 박지성 선수의 2007-2008 유럽축구연맹 챔피언스리그 우승 메달과 2008 피파클럽월드컵 우승 메달, 2008 아시아축구선수상 트로피 등도 전시돼 있다.

글 = 청로(清露)


사회

더보기
중 상하이시 출산장려를 위해 사측 납입 사회보험액의 6개월치 50%를 회사에 되돌려 주기로
중국 상하이시가 여 직원이 출산휴가를 쓰는 경우, 회사에게 납입했던 고용보험 등 사회보험료 6개월분의 50%를 지원키로 했다. 여성들이 보다 자유롭게 출산 휴가를 쓸 수 있도록 하는 조치다. 이번 제도 실시로 출산 등을 우려해 여성 고용을 주저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1징지왕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상하이시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여성 직원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기간 중 고용주의 사회보험 지원금 지급에 관한 통지"(이하 통지)를 공표했다. 이번 통지는 시 인적자원사회보장국을 비롯한 5개 부서가 공동으로 서명했다. 중국 매체들은 “새로운 정책은 정부, 사회, 기업이 참여하는 출산 비용 분담 체계를 구축하고 "아동 친화적" 정책의 가치 지향성을 더욱 강화하는 것을 목표”라며 “’아동 친화적 일자리‘와 ’출산휴가 사회보장금‘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여성의 취업 장벽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통지는 2025년 1월 1일부터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시행하고 고용보험 등 사회 보험료를 납부한 경우 바로 신청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지원 기준은 출산휴가 및 육아휴가 기간 동안 여성 근로자의 기초연금보험, 기초의료보험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