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미국기업 제조시설 '10곳 중 4곳'이 중국 밖으로 이전 계획

무역전쟁의 여파로 중국에서 사업하는 미국 기업 10곳 중 4곳이 제조시설을 중국 밖으로 이전했거나 이전을 검토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중 미국상공회의소와 주상하이 미국상공회의소는 회원사 250곳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40.7%가 제조시설을 중국 밖으로 옮겼거나 이를 검토하고 있다고 22일 로이터 통신은 보도했다.

 

그 중 24.7%는 동남아 국가로 이전을, 10.5%는 멕시코로 이전했거나 이전하려 하고 있지만, 미국으로 옮긴다는 기업은 6%에 불과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16∼20일로 미국과 중국이 최근 상대국 생산 제품에 대한 관세율을 25%로 인상하고 난 다음에 진행됐다.

 

4분의 3에 가까운 기업들이 관세에 따른 경쟁력 약화 등 부정적 영향에 대해 깊은 한숨을 쉬었다.

 

이들 기업은 관세의 부정적 영향으로 자사 제품 수요 약화(52.1%, 이하 복수응답)와 제조비용 상승(42.4%), 판매비용 상승(38.2%), 현저한 이익 감소(27.3%)를 지목했다.

 

이에 대응한 사업 전략으로 35.3%는 ‘수출 대신 중국 내수시장을 위한 생산에 사업을 집중한다’고 답했으며 33.2%는 ‘투자 결정을 미루거나 취소하고 있다’고 대답했다.

 

또한 22.7%는 ‘미국 밖에서 부품 조달이나 조립을 하는 공급망 변경’을 대응 사업 전략으로 꼽았다.

 

절반가량(53.1%) 응답 기업이 중국 정부의 비관세 보복 증가를 체감하지 못하지만 나머지 절반가량은 당국 점검 확대(20.1%), 통관 지연(19.7%), 면허 등 승인 지연(14.2%) 등의 보복을 경험한 바 있다고 답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