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인구 2023년 정점 찍고 급감한다는 전망 제기돼

중국 인구가 오는 2023년 정점을 찍고 급속히 감소한다는 전망이 제기됐다. 중국에 급격한 저출산·고령화 사회가 도래함에 따라 중국 경제의 충격이 클 것으로 전해진다.

 

2일 데이터 분석회사 글로벌 데모그래픽스와 컴플리트 인텔리전스는 최근 중국 인구 보고서를 통해 중국 인구는 오는 2023년 14억 1000만 명으로 정점에 이른 후 가파르게 줄어들기 시작한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보도했다.

 

이는 중국 정부가 예측하는 인구 정점기인 2028년보다 5년이나 빠른 시기다.

 

앞서 지난 1월 중국 사회과학원은 ‘중국 인구와 노동’ 보고서에서 중국 인구가 2029년 14억 4000만 명으로 정점을 찍고 줄어들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다. 그러면서 21세기 중반 13억 6000만 명으로 큰 폭 감소하며 2065년에는 11억 7000만 명까지 줄어들 것이라 예상했다.

 

중국 정부는 급속한 인구 증가를 막기 위해 ‘한 자녀(獨生子女) 정책’을 1978년부터 시행했다. 하지만 이 정책은 2015년 폐지돼 중국의 모든 부모는 2명의 자녀를 가질 수 있게 됐다. 그러나 정책의 폐지에도 불구하고 출산율은 회복될 조짐을 보이지 않고 있다.

 

토니 내시 컴플리트 인텔리전스 대표는 “한 자녀 정책이 너무 늦게 폐지된 영향”이라며 “한 자녀 정책이 10년만 앞서 2005년에 폐지됐다면 출산율은 더 나아졌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중국의 지난해 신생아 수는 1523만 명이다. 이는 전년보다 200만 명 감소한 수치로 1961년 이후 가장 적다. 한 여성이 평생 낳을 수 있는 자녀의 수를 뜻하는 합계출산율은 1.6명으로 나타났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가임기 여성(15∼49세) 인구가 2018년부터 2033년까지 5600만 명 감소할 전망’이라고 지적하며 ‘산모 절벽’이라 일컬었다. 이에 따라 중국의 4세 이하 유아 인구는 2017년 8400만 명으로 정점을 찍었고, 앞으로 해마다 2.8%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같은 현상은 다시 유아 인구의 감소를 불러오며 악순환이 지속될 것으로 보이고 있다. 이 때문에 장난감과 의류, 유제품, 교육 등 관련 산업도 크게 위축될 것으로 보고서는 내다봤다.

 

이런 가운데 중국 칭화(淸華)대 연구팀은 중국 내 3300여개 주요 도시의 야간조명 조도(照度·단위 면적이 단위 시간에 받는 빛의 양)를 2013년부터 2016년까지 분석한 결과 전체의 28%에 이르는 938개 도시에서 조도가 약해졌다는 결과를 발표했다. 야간조명의 조도가 약해졌다는 것은 해당 도시의 인구와 경제 규모가 ‘역성장’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칭화대 연구팀은 역성장이 가장 심각한 지역은 헤이룽장성 등 동북부 지역이었다고 지적했다.


사회

더보기
중 아파트 관리 남으면 환급 조치해 인기
‘아파트 관리비, 남으면 환급해준다!’ 한국에서는 상상도 하기 힘든 일이다. 하지만 중국에서는 조금씩 일상이 되는 현상이다. 중국 매체들은 ‘아파트 관리금 환급’ 현상에 대해 “사회 경제의 최고 가치인 ‘투명성’이 빛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청두시 진뉴구의 한 아파트 단지가 입주민들에게 남은 관리비를 환급해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보도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난퉁, 쿤밍 등 여러 지역에서도 일부 아파트 단지가 공공수익을 현금이나 관리비 차감 방식으로 입주민들에게 돌려준 사례가 있었다. 아파트 단지의 관리비 잉여금 환급 여부는 관리비 산정 방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중국의 「관리서비스 요금 관리방법」에 따르면, 입주민과 관리회사 간에는 ‘포괄정액제(包干制)’ 또는 ‘성과급제(酬金制)’ 등의 방식으로 관리비를 계약할 수 있도록 규정돼 있다. 포괄정액제의 경우, 입주민은 관리회사에 일정한 금액의 관리비를 지불하고, 그에 따른 흑자나 적자는 모두 관리회사가 책임지며, 관리비는 회사의 수입으로 처리되어 입주민이 ‘돈이 어디에 쓰였는지’ 알기 어려운 구조다. 반면 성과급제의 경우 미리 걷은 관리비 중 약정된 비율이나 금액을 관리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