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중 애니메이션·웹툰 비즈니스 상담회 개최 긍정적 성과 올려

2019 한·중 애니메이션·웹툰 비즈니스 상담회(이하 비즈니스 상담회)가 242건의 한·중 웹툰 기업 간 비즈니스 상담의 성과를 올리며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한국만화영상진흥원은 서울산업진흥원, 경기콘텐츠진흥원,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와 공동으로 지난 15일부터 18일까지 중국 항저우와 베이징에서 ‘2019 한·중 애니메이션·웹툰 비즈니스 상담회’를 개최했다. 행사는 25조원에 달하는 중국 애니메이션·만화 소비시장에 대한 판로를 지원하고자 열렸다.

 

이번 행사는 한국 유수의 애니메이션·웹툰 기업들에 중국 기업과 직접 교류하고 중국 콘텐츠 시장의 현주소를 파악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을 열기 위해 마련됐다.

 

1:1 매칭과 전략 매칭 형식으로 진행된 이번 비즈니스 상담회에는 한국 31개사 및 중국 유쿠(YOUKU), 아이치이(IQIYI) 등 150여개의 회사가 참여해 이 중 웹툰 기업은 상담횟수 242건을 달성했다.

 

특히 한국만화영상진흥원의 지원을 통해 참가한 재담미디어는 이번 비즈니스 상담회를 통해 베이징윈라이우문화미디어유한공사와 한중 만화 영상화 판권 업무에 대한 협력 MOU를 체결하는 성과를 이뤘다.

 

한편 15일 항저우에서 진행된 「한·중 애니메이션·웹툰 교류 세미나」에서 Zoland Comics의 주이보 부총경리는 ‘중남 카툰(Zoland) 주요 비즈니스 및 외국 기업 협업 방향’을, Wasu media의 동쉬원 총경리는 ‘중국 애니메이션 영상 콘텐츠 시장 전망’을, FanFan Comics의 쟈오지에청 총감은 ‘중국 창작 만화 판권 비즈니스 및 부가 사업 최신 동향’을 발표, 중국시장에 대한 정보 및 한·중 협력 방안을 제시했다.

 

또한 18일 베이징에서 개최된 「한중 디지털 콘텐츠 협력 포럼」에서, IIE STAR의 장리징 CEO는 ‘한국 웹툰시장 동향과 성공사례’를, 중국출판그룹디지털매체유한공사의 두두 주임은 ‘출판에 기초한 디지털콘텐츠 사업 도전’을, 위엔멍주청동만과기유한공사의 우샤 수석브랜드매니저는 ‘애니메이션 사업발전과 한중협력 사례분석’에 대한 발표를 통해 양국 콘텐츠 산업 교류 현안과 관련해 각종 노하우가 서로 공유되었다.

 

또 18일 진행된 한국 참가기업의 피칭 행사에는 중국 참가기업 70여개의 회사가 참석해, 국내 콘텐츠의 중국 시장 진출에 대한 긍정적인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 참가단은 항저우 Zoland와 Wasu media 본사 견학을 통해 빠른 속도로 발전하는 중국 콘텐츠 시장의 각종 신기술과 중국 진출가능성을 몸소 느끼고 돌아왔다.

 

한국만화영상진흥원 신종철 원장은 23일 “한국 만화 해외 진출의 최대 전략시장인 중국은 좋은 파트너이자 경쟁자로서, 적극적인 투자와 동시에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한 시장”이라며 “향후 한국만화영상진흥원은 산업적 지원부터 문화적 교류를 위한 소프트웨어 지원에도 노력에 최선을 다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사회

더보기
중 아파트 관리 남으면 환급 조치해 인기
‘아파트 관리비, 남으면 환급해준다!’ 한국에서는 상상도 하기 힘든 일이다. 하지만 중국에서는 조금씩 일상이 되는 현상이다. 중국 매체들은 ‘아파트 관리금 환급’ 현상에 대해 “사회 경제의 최고 가치인 ‘투명성’이 빛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청두시 진뉴구의 한 아파트 단지가 입주민들에게 남은 관리비를 환급해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보도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난퉁, 쿤밍 등 여러 지역에서도 일부 아파트 단지가 공공수익을 현금이나 관리비 차감 방식으로 입주민들에게 돌려준 사례가 있었다. 아파트 단지의 관리비 잉여금 환급 여부는 관리비 산정 방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중국의 「관리서비스 요금 관리방법」에 따르면, 입주민과 관리회사 간에는 ‘포괄정액제(包干制)’ 또는 ‘성과급제(酬金制)’ 등의 방식으로 관리비를 계약할 수 있도록 규정돼 있다. 포괄정액제의 경우, 입주민은 관리회사에 일정한 금액의 관리비를 지불하고, 그에 따른 흑자나 적자는 모두 관리회사가 책임지며, 관리비는 회사의 수입으로 처리되어 입주민이 ‘돈이 어디에 쓰였는지’ 알기 어려운 구조다. 반면 성과급제의 경우 미리 걷은 관리비 중 약정된 비율이나 금액을 관리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