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차 디지털 중국 서밋, 오는 5월 6일에 열린다...'신제품 50% 이상'

양샤오웨이(楊小偉) 국가인터넷정보판공실 부주임은 2일 국무원 신문판공실 정례브리핑에서 “제2차 디지털 중국 서밋(Digital China Summit)이 오는 5월 6일부터 8일까지 푸젠성 푸저우(福州)시에서 개최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번 서밋은 ‘정보화를 통한 신성장동력으로 새로운 발전과 성과를 이끈다’를 주제로 디지털 헬스, 인터넷 과학기술, 위성 응용 등 포럼이 신설된다. 또한 디지털 경제 시범(지) 공정, 인공지능(AI) 공공서비스 플랫폼 등 현장 활동도 마련될 예정으로 전해져 기대를 높였다.

 

장즈난(張志南) 푸젠성 상무부성장은 “현재 서밋 준비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올해 서밋 참가자는 지난번보다 50% 정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한다”고 기대를 전했다. 이어 그는 “‘온라인 서밋’을 통해 폐막 없이 언제나 함께하는 서밋을 만드는 한편, 산업응용별 포럼을 개최할 예정”이라며 “이번 서밋에서 첫 선을 보이는 신기술과 신제품의 비중은 50% 이상일 것”이라고 밝혔다.

 

양 부주임은 디지털 중국 건설 현황에 대해 “인터넷 기초 인프라 건설은 비약적인 발전을 이뤘다”며 “지난해 말까지 중국에 설치된 광케이블은 4358만km에 달한다. 4세대(4G) 이동통신 이용자는 11억 7000만 명으로 지난해에만 1억 6900만 명 증가했고, 5G 핵심기술 연구•개발(R&D) 및 표준 제정은 새로운 진전을 거뒀다”고 강조했다.

 

덧붙여 “빅데이터 발전과 응용 역시 빠르게 추진되고 있다”면서 “64개 정부 기관과 31개 성•구•시(省區市), 신장생산건설병단 지역은 국가데이터공유 플랫폼과 연결돼 있고, 디지털 경제 발전이 공급 측 개혁을 이끌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관계 기관에 따르면 지난해 말까지 중국의 디지털 경제 규모는 31조 위안(약 5244조 원)으로 국내총생산(GDP)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됐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