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신장 문화시장, 대중 소비시장 ‘포옹’

  ‘다판지를 먹는 것은 신장인의 기질을 먹는 것이고 세계를 포옹하는 태도다.” 이 말은 새해 달력에 나오는 말이다. 삽화가는 50여 가지의 신장 특색 음식을 달력에 담고 군침을 돌게 하는 문구를 써 넣었다. 달력이 나오자 마자 입덕들을 통해 각 지역의 여행객들에게 퍼졌다.

흔하고 흔한 달력이 신장의 문화 소비 매개체가 새롭게 변화하고 발전하는 모습을 반영하였다. 사람들의 생활 수준과 정신 문화 수요가 향상되면서 최근 신장은 소비 수요의 부광(富礦)을 발굴해 더 많은 문화 제품, 장소, 산업을 발전시켜 신장의 경제와 사회 발전을 위해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올해 춘제(春節∙음력 설)에 술과 음식 등의 전통 물질 소비 외에 문화 소비도 인기를 끌었다. 황메이시(黄梅戏,안후이 지방 전통극)의 하이라이트 대목이 상연되어 시민의 각광을 받았다. 알타이 지역의 눈밭에서 펼쳐진 경마, 댜오양(叼羊, 양 빼앗기), 아가씨들이 총각을 쫓아가는 ‘구냥쭈이(姑娘追)’ 등 빙설 공연 행사를 보며 전국 각지에서 온 여행객들이 지갑을 열었다. 대형 영화관들이 영업을 계속해 관객들을 위해 훌륭한 공연과 영화를 상연했다……

사람들의 소비관이 변하는 것은 신장이 여러 루트로 문화 소비를 확대하는 것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최근 신장은 공급측면에서 효율적인 공급을 확대하고 소비 환경을 개선하고 있다. PC방에 들어서면 초대형 고화질 디스플레이, 초고속 인터넷, 푹신한 의자, 차, 음료수, 사탕, 스낵이 갖추어 져 있다. 일부 서점에서는 도서 판매 외에도 문화창의, 전시회, 커피, 놀이방, 꽃꽂이, 무대 공간을 마련해 각기 다른 수요를 가진 소비자의 시선을 끌고 있다. 새로 리모델링한 영화관에는 가죽의자, 4F 영화 관람, 돌비 시네마가 갖춰져 있고, 먹을거리와 즐길거리가 한 곳에 준비돼 있다.

정부의 지원과 도움을 받아 신장의 문화 소비 시장의 거대한 잠재력이 폭발하고 있다. 국가통계국 우룸치 조사팀의 조사자료에서 2017년 우룸치의 도시 주민 1인당 평균 문화 엔터테인먼트 소비는 2074.64위안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장의 ‘문화+여행’ ‘문화+스포츠’ ‘문화+인터넷’ 등이 대중의 소비 방식을 변화시키고 있다. 앞으로 ‘문화+’는 더 잘 사회에 융합되고 시장에 연결되어 신장 경제가 질적 발전을 실현하기 위한 동력을 축적할 것으로 전망된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