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신장 문화시장, 대중 소비시장 ‘포옹’

  ‘다판지를 먹는 것은 신장인의 기질을 먹는 것이고 세계를 포옹하는 태도다.” 이 말은 새해 달력에 나오는 말이다. 삽화가는 50여 가지의 신장 특색 음식을 달력에 담고 군침을 돌게 하는 문구를 써 넣었다. 달력이 나오자 마자 입덕들을 통해 각 지역의 여행객들에게 퍼졌다.

흔하고 흔한 달력이 신장의 문화 소비 매개체가 새롭게 변화하고 발전하는 모습을 반영하였다. 사람들의 생활 수준과 정신 문화 수요가 향상되면서 최근 신장은 소비 수요의 부광(富礦)을 발굴해 더 많은 문화 제품, 장소, 산업을 발전시켜 신장의 경제와 사회 발전을 위해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올해 춘제(春節∙음력 설)에 술과 음식 등의 전통 물질 소비 외에 문화 소비도 인기를 끌었다. 황메이시(黄梅戏,안후이 지방 전통극)의 하이라이트 대목이 상연되어 시민의 각광을 받았다. 알타이 지역의 눈밭에서 펼쳐진 경마, 댜오양(叼羊, 양 빼앗기), 아가씨들이 총각을 쫓아가는 ‘구냥쭈이(姑娘追)’ 등 빙설 공연 행사를 보며 전국 각지에서 온 여행객들이 지갑을 열었다. 대형 영화관들이 영업을 계속해 관객들을 위해 훌륭한 공연과 영화를 상연했다……

사람들의 소비관이 변하는 것은 신장이 여러 루트로 문화 소비를 확대하는 것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최근 신장은 공급측면에서 효율적인 공급을 확대하고 소비 환경을 개선하고 있다. PC방에 들어서면 초대형 고화질 디스플레이, 초고속 인터넷, 푹신한 의자, 차, 음료수, 사탕, 스낵이 갖추어 져 있다. 일부 서점에서는 도서 판매 외에도 문화창의, 전시회, 커피, 놀이방, 꽃꽂이, 무대 공간을 마련해 각기 다른 수요를 가진 소비자의 시선을 끌고 있다. 새로 리모델링한 영화관에는 가죽의자, 4F 영화 관람, 돌비 시네마가 갖춰져 있고, 먹을거리와 즐길거리가 한 곳에 준비돼 있다.

정부의 지원과 도움을 받아 신장의 문화 소비 시장의 거대한 잠재력이 폭발하고 있다. 국가통계국 우룸치 조사팀의 조사자료에서 2017년 우룸치의 도시 주민 1인당 평균 문화 엔터테인먼트 소비는 2074.64위안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장의 ‘문화+여행’ ‘문화+스포츠’ ‘문화+인터넷’ 등이 대중의 소비 방식을 변화시키고 있다. 앞으로 ‘문화+’는 더 잘 사회에 융합되고 시장에 연결되어 신장 경제가 질적 발전을 실현하기 위한 동력을 축적할 것으로 전망된다.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스스로 꼽은 3대 관광지, '만세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은 중국 관광지 ‘빅3’다. 베이징과 상하이 등도 중국 10대 인기 관광지에 포함됐다. 중궈신원왕 등에 따르면 메이투안 여행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 여름휴가 핫스폿 및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여름철 국내 인기 관광지는 베이징, 상하이, 시안, 난징, 청두, 광저우, 정저우, 충칭, 뤄양, 항저우 등이었다. 인기 관광지 TOP3는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이 차지했다. 보고서는 서북, 동북, 서남 지역의 여러 성(省)에서 관광 열기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지린, 헤이룽장, 랴오닝, 신장 등은 ‘피서 여행 고속 성장 지역’으로 떠올랐다. 목적지 분포로 보면, 1·2선 도시가 여전히 선도했고, 베이징·상하이·시안이 인기 목적지 1~3위를 차지했다. 이들 도시는 중국인들의 인기 관광 목적지로 부동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동시에 하위 도시 시장의 열기도 가파르게 상승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대 이후 세대의 젊은 관광객들이 소규모·특색 있는 관광지로 깊이 들어가 새로운 여행 방식을 발굴했다. 메이투안 여행이 발표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