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18년 세계 금 수요 4% 증가…각국 중앙은행 금 자산 배치

 세계금협회(WGC)가 31일 발표한 데이터에서 세계 중앙은행의 금 매입과 지난해 하반기 이후 골드바와 골드코인 투자 가속화 등으로 말미암아 2018년 세계 금 수요는 전년 대비 4% 증가한 4345.1톤을 기록했다.

 

 “2018년 세계 중앙은행 관영 금 보유고는 전년 대비 74% 증가한 651.5톤을 기록했다. 이는 역대 두 번째로 큰 규모다.” 왕리신(王立新) 세계금협회 중국지역 대표는 31일 베이징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상승하는 배경에서 많은 중앙은행들이 리스크를 분산하기 위해 금 자산 배치를 선택하고 있다고 말했다.

 

 2018년 세계 금 장신구 수요는 2200톤으로 안정적이었으며, 2017년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같은 기간 골드바와 골드코인의 소매 투자 수요는 1090.2톤에 달해 전년 대비 4% 증가했다. 이 중 골드코인 수요는 236.4톤으로 대폭 증가해 5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2018년 실물 금에 투자하는 금 ETF제품(Exchange Traded Funds∙상장지수펀드) 및 유사한 제품은 68.9톤의 소폭 순유입을 기록했다. 이는 2017년보다 67% 하락한 수준이다. 지난해 4분기 이후 스마트폰 판매 둔화 등의 여파로 작년 같은 기간 과학기술업종의 금 사용량은 1%인 334.6톤 증가하는데 그쳤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