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과학보급: AI, 컴퓨터 게임 프로게이머 압승 시사점

 바둑 AI 알파고(AlphaGo)가 인간 대 기계 바둑 대전에서 바둑 프로 기사를 꺾은 데 이어 구글 산하의 인공지능(AI) 개발 기업 딥마인드(DeepMind)가 개발한 게임AI ‘알파스타(AlphaStar)’가 실시간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 ‘스타크래프트2’에서 인간 프로 게이머와 대결해 압승을 거뒀다.

딥마인드는 작년 12월 이후 자사가 개발한 AI프로그램 알파스타가 인간 프로게이머와 11번의 경기를 벌였다고 소개했다. 인간 대 기계 대전에서 알파스타는 10대 1로 인간 플레이어를 꺾었다. 1월24일 진행된 라이브 경기에서 알파스타는 시야 확보에 제한을 받아 인간 플레이어에게 한 판을 내줬다.

 

 쌍방이 모든 바둑알을 볼 수 있는 바둑과 달리 RST 게임에서는 서로의 기지가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플레이어들은 상대방의 행동을 추측하고 정찰해야 한다. 서로의 정보를 모른 채 실시간으로 판단을 내려야 하므로 AI에게 더 높은 전략을 요구한다.

 

 딥마인드는 알파스타 전까지 스타크래프트2에서 인간 프로게이머와 테크닉을 견줄 수 있는 AI 시스템은 없었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대전에서 알파스타가 압승을 거둘 수 있었던 중요한 기반은 심층 신경망(DNN, Deep Neural Networks)을 사용한 데 있다. 딥마인드는 감독 학습과 강화 학습 방식을 통해 게임의 원시 데이터를 직접 이용해 훈련시키고, 모방 학습 사고로 인간 플레이어들이 게임에서 사용한 전략과 조작을 빠르게 습득하도록 했다.

 

 스타크래프트2 등 게임에서는 분당 행동 수(APM∙Actions per Minute)라는 개념으로 평가한다. 기준 테스트에서 알파스타는 분당 약280개의 액션을 수행할 수 있었다. 비록 인간 프로게이머에는 훨씬 못 미치는 수준이지만 그 정확도는 경기를 승리로 이끄는데 도움이 됐다.

 

 바둑을 정복한 데 이어 컴퓨터 게임에서도 압승했다. 이것이 AI의 발전에 무엇을 가져올까? 딥마인드 연구팀은 알파스타를 훈련시킨 첨단 방법 및 알고리즘의 첨단 아키텍쳐는 향후 연구자들에게 더 많은 경험을 축적시켜 향후 일기예보, 기후 모델링 및 언어이해 등 현실 생활에서 많은 복잡한 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AI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