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가전∙가구 기업, 유럽시장 진출 포석 가속화

 현재 열리고 있는 독일 쾰른 국제가구전시회에서 하이얼, 취메이(QM), 델루찌(DeRucci) 등 중국의 유명 가전 및 가구기업이 비상한 주목을 받고 있다. 중국 브랜드는 유럽 시장 포석을 가속화하고 브랜드의 해외 인지도를 높이고 있다.

 

우나니(吳娜妮) QM 부사장은 신화사와의 인터뷰에서 과거 중국 가구기업 대부분은 글로벌 유명 브랜드 배후의 OEM업체였으나 현재 QM은 해외 인수합병을 통해 수출 판로 문제를 해결했다면서 “외국 시장의 수요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면서 해외에 QM브랜드샵 개장을 포함해 앞으로 점차 더 많은 해외 판매 방식을 시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침구용품 브랜드 델루찌는 올해에도 쾰른 컨벤션센터의 유명 브랜드들이 모인 9호관에 부스를 마련했다. 2014년 연말에 개업한 델루찌 쾰른점은 수년 간의 모색을 통해 작년에 비약적인 실적을 기록, 2018년 1~11월 매출액이 120% 넘게 증가했다.

 

 중국 가전 거두 하이얼은 올해 처음 전시회에 참가했다. 토마스 바이틀링 하이얼(독일)사장은 신화사 기자에게 하이얼이 이번 전시회에서 출품한 스마트 냉장고는 독일 유명 가전 브랜드 밀레(Miele) 동종 제품의 거의 두 배 가격인 3999유로라면서 이는 하이얼이 유럽에서 고급 브랜드 반열에 들어섰음을 설명한다고 말했다.  하이얼은 마케팅 확대를 위해 향후 유럽 지역에서 10억 유로를 투자할 계획이라고 바이틀링 사장은 덧붙였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