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경포호를 담아낸 한국 최대 규모 경기장 강릉 스피드 스케이팅 경기장

강릉 스피드 스케이팅 경기장의 트랙은 바다를 향해 탁 트인 강릉 경포호()를 콘셉트로 디자인됐다. 기둥 없는 건축물(기둥 사이 거리 가로 240m, 세로 120m)로는 국내 최대 규모를 자랑하며, 시원하고 경쾌한 트랙이 특징이다. 매력은 멋진 디자인에만 그치지 않는다. 경기장 코스는 ISU 자문을 바탕으로 세계적 추세에 걸맞게 웜업트랙(Warm Up Track, 선수들이 몸을 푸는 가장 안쪽 트랙) 5m, 인코스 4m, 아웃코스 4m로 설계됐다. 원래 4m였던 웜업트랙의 폭이 5m로 바뀌면서 트랙을 파고들어 당초 설계보다 훨씬 가파르고 다이내믹한 곡선 주로가 완성됐다 

 

ⓒnews1
 

강릉 올림픽 파크에는 강릉 스피드 스케이팅 경기장 외에도 강릉 아이스 아레나(피겨·쇼트트랙), 강릉 하키 센터(아이스하키Ⅰ), 강릉 컬링 센터(컬링) 등 대부분의 빙상 종목 경기장이 밀집되어 있어 이동에도 용이하다. 강릉 올림픽 선수촌과도 10분 거리여서 여러모로 접근성이 뛰어나다.

경기장의 빙질과 온도는 스피드 스케이팅 경기에 큰 영향을 끼친다. 강릉 스피드 스케이팅 경기장은 빙질과 온도 면에서 세계 최고 수준이다. 이는 경기장 공사 초기 때부터 전문 아이스 메이커 마크 메서(Mark Messer)의 자문을 반영해 온 덕분이다. 스크류 냉동기 등 최첨단 제빙시설을 갖춘 것은 물론, 경기장 실내 온도도 선수들이 좋은 컨디션을 만들기에 최적 온도인 약 15℃로 유지된다. 특히 얼음의 밀도가 관건이다. 밀도가 높을수록 표면이 매끄럽고 마찰이 줄어 스케이트 날이 잘 미끄러지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약 70℃의 뜨거운 물을 얇게 뿌리고 다시 얼리는 작업을 반복해 얼음의 밀도를 높인다. 깨끗하게 정수된 물을 사용하면 얼음의 표면을 한층 매끄럽게 만들 수 있다.

설비와 배치에서 관중과 미디어를 배려한 점도 돋보인다. 경기장이 크고 넓은 만큼 주요 클라이언트(관중, 선수단, 미디어 등)의 동선을 최대한 짧고 단순하게 만들었고, 수유실과 같은 배려 시설도 마련했다. 관람석을 지그재그로 배치하여 시야 확보에 신경 쓰는 한편, 관람석의 경사도를 완만하게 배치하여 전체적인 안정감을 더했다.

 

출처=평창동계올림픽조직위원회 글 = 윤진희 

 


사회

더보기
중 상하이시 출산장려를 위해 사측 납입 사회보험액의 6개월치 50%를 회사에 되돌려 주기로
중국 상하이시가 여 직원이 출산휴가를 쓰는 경우, 회사에게 납입했던 고용보험 등 사회보험료 6개월분의 50%를 지원키로 했다. 여성들이 보다 자유롭게 출산 휴가를 쓸 수 있도록 하는 조치다. 이번 제도 실시로 출산 등을 우려해 여성 고용을 주저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1징지왕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상하이시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여성 직원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기간 중 고용주의 사회보험 지원금 지급에 관한 통지"(이하 통지)를 공표했다. 이번 통지는 시 인적자원사회보장국을 비롯한 5개 부서가 공동으로 서명했다. 중국 매체들은 “새로운 정책은 정부, 사회, 기업이 참여하는 출산 비용 분담 체계를 구축하고 "아동 친화적" 정책의 가치 지향성을 더욱 강화하는 것을 목표”라며 “’아동 친화적 일자리‘와 ’출산휴가 사회보장금‘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여성의 취업 장벽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통지는 2025년 1월 1일부터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시행하고 고용보험 등 사회 보험료를 납부한 경우 바로 신청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지원 기준은 출산휴가 및 육아휴가 기간 동안 여성 근로자의 기초연금보험, 기초의료보험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