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경포호를 담아낸 한국 최대 규모 경기장 강릉 스피드 스케이팅 경기장

강릉 스피드 스케이팅 경기장의 트랙은 바다를 향해 탁 트인 강릉 경포호()를 콘셉트로 디자인됐다. 기둥 없는 건축물(기둥 사이 거리 가로 240m, 세로 120m)로는 국내 최대 규모를 자랑하며, 시원하고 경쾌한 트랙이 특징이다. 매력은 멋진 디자인에만 그치지 않는다. 경기장 코스는 ISU 자문을 바탕으로 세계적 추세에 걸맞게 웜업트랙(Warm Up Track, 선수들이 몸을 푸는 가장 안쪽 트랙) 5m, 인코스 4m, 아웃코스 4m로 설계됐다. 원래 4m였던 웜업트랙의 폭이 5m로 바뀌면서 트랙을 파고들어 당초 설계보다 훨씬 가파르고 다이내믹한 곡선 주로가 완성됐다 

 

ⓒnews1
 

강릉 올림픽 파크에는 강릉 스피드 스케이팅 경기장 외에도 강릉 아이스 아레나(피겨·쇼트트랙), 강릉 하키 센터(아이스하키Ⅰ), 강릉 컬링 센터(컬링) 등 대부분의 빙상 종목 경기장이 밀집되어 있어 이동에도 용이하다. 강릉 올림픽 선수촌과도 10분 거리여서 여러모로 접근성이 뛰어나다.

경기장의 빙질과 온도는 스피드 스케이팅 경기에 큰 영향을 끼친다. 강릉 스피드 스케이팅 경기장은 빙질과 온도 면에서 세계 최고 수준이다. 이는 경기장 공사 초기 때부터 전문 아이스 메이커 마크 메서(Mark Messer)의 자문을 반영해 온 덕분이다. 스크류 냉동기 등 최첨단 제빙시설을 갖춘 것은 물론, 경기장 실내 온도도 선수들이 좋은 컨디션을 만들기에 최적 온도인 약 15℃로 유지된다. 특히 얼음의 밀도가 관건이다. 밀도가 높을수록 표면이 매끄럽고 마찰이 줄어 스케이트 날이 잘 미끄러지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약 70℃의 뜨거운 물을 얇게 뿌리고 다시 얼리는 작업을 반복해 얼음의 밀도를 높인다. 깨끗하게 정수된 물을 사용하면 얼음의 표면을 한층 매끄럽게 만들 수 있다.

설비와 배치에서 관중과 미디어를 배려한 점도 돋보인다. 경기장이 크고 넓은 만큼 주요 클라이언트(관중, 선수단, 미디어 등)의 동선을 최대한 짧고 단순하게 만들었고, 수유실과 같은 배려 시설도 마련했다. 관람석을 지그재그로 배치하여 시야 확보에 신경 쓰는 한편, 관람석의 경사도를 완만하게 배치하여 전체적인 안정감을 더했다.

 

출처=평창동계올림픽조직위원회 글 = 윤진희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스스로 꼽은 3대 관광지, '만세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은 중국 관광지 ‘빅3’다. 베이징과 상하이 등도 중국 10대 인기 관광지에 포함됐다. 중궈신원왕 등에 따르면 메이투안 여행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 여름휴가 핫스폿 및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여름철 국내 인기 관광지는 베이징, 상하이, 시안, 난징, 청두, 광저우, 정저우, 충칭, 뤄양, 항저우 등이었다. 인기 관광지 TOP3는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이 차지했다. 보고서는 서북, 동북, 서남 지역의 여러 성(省)에서 관광 열기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지린, 헤이룽장, 랴오닝, 신장 등은 ‘피서 여행 고속 성장 지역’으로 떠올랐다. 목적지 분포로 보면, 1·2선 도시가 여전히 선도했고, 베이징·상하이·시안이 인기 목적지 1~3위를 차지했다. 이들 도시는 중국인들의 인기 관광 목적지로 부동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동시에 하위 도시 시장의 열기도 가파르게 상승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대 이후 세대의 젊은 관광객들이 소규모·특색 있는 관광지로 깊이 들어가 새로운 여행 방식을 발굴했다. 메이투안 여행이 발표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