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판빙빙 탈세 효과…"中 톱스타 줄줄이 거액 납세"

 

판빙빙(范氷氷) 탈세 사건의 후폭풍이 중국 연예계에 불어닥치면서 중국 톱스타들이 줄줄이 세무 당국에 거액의 세금을 납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6일 홍콩 빈과일보에 따르면 중국 세무총국은 지난달 28일 저장(浙江)성 세무국에 2016년부터 올해까지 3년간 납세 자료를 근거로 중국 연예인들의 세금을 제대로 징수할 것을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판빙빙 탈세 사건의 후속 조치로, 중국 연예계에 대대적인 세무조사를 하겠다고 밝힌 당국의 방침에 따른 것이었다.

 

 

 

지난 10월 중국 세무 당국은 판빙빙이 '이중계약'으로 탈세를 했다며 88394만 위안(1430억원)의 벌금과 세금을 내라고 명령했고, 판빙빙은 공개 사과와 함께 이를 납부했다.

 

 

 

중국 세무총국의 지시에 따라 저장성 세무국은 551명에 달하는 배우, 가수, 감독 등에 대해 '위에탄'(約談)을 실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위에탄은 정부 당국이 감독 대상 기관의 관계자를 불러 면담하는 것으로, 여기서 나온 '권고'를 따르지 않으면 당국의 가혹한 처벌을 면하기 어렵다.

 

 

 

당국의 위에탄 대상이 된 551명 중 톱스타급 연예인은 모두 17명으로, 여기에는 한국인에게도 친숙한 장쯔이(章子怡)와 쑨리(孫儷), 우징(吳京) 등이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은 각각 최소 1억 위안(160억원) 이상의 세금을 납부해야 했고, 이 소식을 듣자마자 울음을 터뜨린 배우가 있다는 얘기도 들린다.

 

 

 

중국에서 큰 인기를 끈 드라마 '미월전'의 주인공 쑨리와 그 남편 덩차오(鄧超)25천만 위안(410억원)의 세금을 낸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 57억 위안(9200억원)의 막대한 수입을 올린 애국주의 영화 '전랑(戰狼) 2'의 주인공 우징은 23천만 위안(370억원)을 납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저장성에는 '중국의 할리우드'로 불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영화 세트장 '헝뎬잉스청'(橫店影視城)이 있어 많은 영화사가 여기에 근거지를 두고 있다.

 

 

 

저장성 세무 당국이 '총대'를 메고 톱스타들에게 세금 납부를 독촉한 것도 이러한 배경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