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어느 때보다 변수 많은 프로야구 FA 시장, 선수들에게는 한파


@뉴스원

 

어느 때보다 변수가 많다. 섣불리 예단하기 어렵지만 일단은 선수들에게 불리하고 구단에 유리해 보이는 형세다. 프로야구 FA 자격을 행사한 15명은 지난 21일부터 모든 구단과 자유롭게 계약할 수 있게 됐다. 일부 선수들이 현 소속팀과 만나 협상에 들어갔다는 소식은 있었지만, 아직 첫 계약 사례는 나오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KBO리그 구단들은 선수단 몸값 줄이기에 나서고 있다. 10개 구단 사장들은 이사회를 통해 2019 시즌부터 새 외국인 선수 몸값이 100만 달러를 넘지 못하게 했고, 선수협 반대로 무산되기는 했지만 FA 선수 계약 조건도 최대 480억원으로 제한을 시도했다.

밖으로는 이러한 조치들이 있었고, 내부적으로는 육성을 새로운 가치로 내세웠다. 구단마다 이유는 다르지만, 각 구단에서 방출된 선수들 중 이름난 베테랑들이 이번 오프시즌에 유독 많은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늘 반복되는 경기불황 이야기는 이번 겨울에도 마찬가지다. 다른 점이 있다면 과거엔 말로는 불황이라면서도 구단들이 수십억이 넘는 금액도 과감하게 지출했지만, 이번에는 전과 조금은 다른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는 정도다.

올해 최고액을 찍을 선수로는 단연 리그 최고 포수 양의지(두산)가 꼽힌다. 최정(SK)도 있지만, 양의지에 비해 소속팀 잔류에 좀 더 무게가 실리는 데다 보상금이 최소 24억원으로 부담스럽다는 점도 걸림돌이다. FA 계약을 했던 4년 전 최정은 SK486억원에 재계약했는데, 양의지는 100억원 이상의 대우를 받을 수 있다는 전망도 여전히 많다. 하지만 양의지, 최정 등 최대어급조차도 각 구단의 움직임이 활발하지 않으면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다. 일단 구단들이 '자존심 세워주기' 같은 고액 계약을 하지 않겠다는 자세를 보이고 있는 점도 주목해야 한다.

물론 가장 중요한 것은 선수를 둘러싼 영입 경쟁 여부다. 수요가 많은데 공급이 없으면 가치는 당연히 올라간다. 여러 팀이 경쟁하는 모양새가 갖춰지면 시장 상황과 관계없이 선수의 몸값은 단기간에도 치솟을 수 있고, 그렇지 않다면 만족할 만한 계약은 쉽지 않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