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웨이보 반응] "젓가락으로 피자 먹기"…돌체앤가바나, 中비하 광고 물의


 

사진 출처: 웨이보

 

이탈리아의 유명 패션브랜드 '돌체앤가바나'가 중국인을 비하하는 듯한 광고를 선보여 중국에서 보이콧 운동이 일어나고 있다. 이로 인해 상하이에서 열기로 한 패션쇼가 결국 취소됐다.

 

21일 중국 매체 왕이 등에 따르면 돌체앤가바나는 이날 저녁에 열릴 예정이었던 상하이 패션쇼 행사(더 그레이트 쇼)를 취소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당초 패션쇼에 참석하기로 했던 장쯔이 등 연예인 및 모델들이 불참을 선언했기 때문이다.

 

이에 앞서 전날 CNBC 등은 돌체앤가바나가 상하이 패션쇼를 앞두고 공개한 '젓가락으로 먹기(Eating With Chopsticks)'라는 광고가 인종차별 논란을 일으켰다고 전했다.

 


 


사진 출처: 웨이보

 

3개 버전인 광고는 중국인 여성으로 보이는 여성 모델은 젓가락이 이용해 피자, 스파게티, 카놀리 페이스트리 등 이탈리아 음식을 먹는 모습과 무엇을 해야 할지를 설명하는 남성 나레이션이 담겼다.

 

SNS를 통해 공개된 이 광고는 즉각 중국 네티즌들의 반발을 불러왔다. 네티즌들은 동양주의에 대한 반감을 너무 노골적으로 표현했다”, “고정적인 관념에서 모든 중국인을 특징화한 데 대해 불쾌감을 느낀다”, “너무도 어리석고 문화적으로 무감각하다는 등 반응을 보였다.

 

이에 패션쇼에 초대된 장쯔이, 천쿤, 리빙빙, 황사오밍, 왕쥔카이 등 연예인들이 잇달아 불참을 선언했다.


 


사진 출처: 웨이보

 

논란이 커지자 돌체앤가바나는 중국내 SNS 계정이 도난당했다고 해명했지만 논란을 잠재우기는 역부족이었다.

 

한편 돌체앤가바나가 인종차별 논란을 불러일으킨 것은 이번이 처음 아니다. 지난 2016년 봄/여름 시즌 캠페인 화보 영상에서 아시안 남녀모델이 스파게티를 게걸스럽게 먹는 장면을 백인 모델들과 대비시켜 인종차별이라는 비난을 받았다. 2013년에는 흑인 노예 여성을 떠올리게 하는 귀걸이를 만들어 문제가 됐고 2007년에는 성폭력 미화 화보로 뭇매를 맞았다.


 


사진 출처: 웨이보

 

-나는 내 조국을 사랑한다!


 

 

사진 출처: 웨이보

 

-당예흔 아가씨게서 돌체앤가바나 패션쇼에 참석하시지 않는다니 참으로 고마운 일이군요! 중국을 존중하세요!

 

 


 

사진 출처: 웨이보

 

-스스로 굴욕을 자초하는구먼.

(사진 설명: 너 똥 떨어뜨렸다 가져가라.)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