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맨날 빵점 맞던 아들, 7점 맞자 폭죽 파티한 아빠

사진 출처: 웨이보

 

학교 시험에서 7(100점 만점)을 받은 아들을 위해 차량 가득 폭죽을 싣고 와 밤하늘을 화려하게 수놓은 아빠의 사연이 큰 화제다.

 

장쑤뉴스(江苏新闻)20일 보도에 따르면, 장쑤(江苏)성 쑤첸시(宿迁市)에 사는 저우() 씨는 최근 승용차에 가득 싣고 온 폭죽을 터뜨렸다. 주변 이웃은 무슨 경사라도 났나 보다고 여기고, 무슨 일로 폭죽을 터뜨리느냐고 묻자 의외의 답변이 돌아왔다.

 

저우 씨는 “11살 된 아들이 시험에서 7점 받은 것을 축하하기 위해서라고 답했기 때문이다.

 

그는 아들의 성적이 항상 좋지 않았고, 걸핏하면 0점을 받기도 했다면서 이번 시험에서 7점을 받았지만, 조금도 화가 나지 않았다고 말했다. 오히려 아들을 응원하기 위해 1000위안(163000)어치가 넘는 폭죽을 사서 안전지대를 찾아 폭죽에 불을 붙였다.

 

평소 동영상을 촬영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올리는 것을 즐겼던 그는 이번 폭죽 장면도 자신의 SNS에 올렸다. 이번에 올린 그의 동영상은 하루 만에 17만 뷰를 넘어서며 큰 인기를 끌었다.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그는 아들을 응원하기 위해 폭죽을 터뜨리고 난 뒤 아들은 더욱 열심히 공부해 최근 시험에서 57점을 받았다며 자랑스러워했다.

 

누리꾼들은 내가 어릴 적에는 왜 이런 아빠가 없었을까?”, “응원의 힘은 정말 강력하다”, “이런 아빠를 저에게도 좀 주세요라는 등의 폭발적인 댓글이 연이어 올라왔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