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금마장상 시상식 수상자 '타이완 독립' 발언, 中대륙에서 일파만파

사진 출처: 허밍턴 포스트

 

중화권 최대 영화상인 금마장(金馬奬) 시상식에서 나온 타이완(臺灣) 독립을 옹호하는 한 수상자의 발언의 후폭풍이 날로 거세지고 있다.

 

지난 16일 타이베이(台北)에서 개최된 제55회 금마장(金馬奬) 시상식에서 다큐멘터리 작품상을 수상한 푸위(傅楡·오른쪽 여성분) 감독의 수상소감이 논란의 발단이 됐다. 푸 감독은 단상에서 "우리나라(타이완)가 국제 사회에서 하나의 개체로 인정받는 날이 오기를 소원한다"고 밝혀 시상식장을 발칵 뒤집어 놓았다.

 

푸 감독은 20163월부터 3주간 반() 중국 성향 대학생들의 입법원(국회) 점거시위인 '해바라기 운동'을 소재로 제작한 다큐멘터리 '우리의 청춘, 타이완에'(我們的靑春, 在台灣)로 작품상을 수상했다.

 

푸 감독이 타이완 독립을 열망하는 듯한 발언을 하자 이어진 시상식에서 친()중 영화인들은 즉각 불편한 반응을 나타냈다. 푸 감독에 이어 시상자로 나선 중국 배우 투먼(涂們)"'중국' 타이완 금마장에 초청해줘 감사하다"며 중국을 강조했고, 인사 말미에 "양안은 한가족"이라는 말을 덧붙였다. 남우주연상을 받은 중국 배우 쉬정(徐崢)과 감독상을 수상한 장이머우(張藝謨) 감독 역시 "중국 영화의 앞날을 기대한다"며 타이완이 아닌 중국 만을 언급하고 지나갔다.

 

심사위원단 위원장인 중국 배우 공리(鞏俐)는 작품상 시상을 거절했고, 영화제에 참석했던 중국 배우들과 관계자들은 공식 특별파티에 불참한 뒤 일정을 앞당겨 중국으로 돌아갔다.

 

탈세로 거액의 추징금을 납부한 중국 톱스타 판빙빙(范氷氷)17일 밤 자신의 웨이보(微博·중국판 트위터) 계정에 "중국, 조금이라도 줄어들어선 안된다"며 중국 공산주의청년단의 구호를 올리면서 파장은 더욱 확산됐다.

 

정작 타이완 측 인사들은 푸 감독을 옹호하는 모양새다. 영화제 집행위원장인 타이완 출신의 세계적 거장 리안(李安) 감독은 기자들의 질문에 "수상자가 시상대에 올라 수상소감을 말할 때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을 하지 않느냐"며 푸 감독을 옹호했고, 시상식에 참석했던 정리쥔(鄭麗君) 타이완 문화부장(장관)은 페이스북에 "여기는 타이완입니다. 중국 타이완이 아닙니다"라는 글을 올리며 푸 감독을 적극 지지했다.

 

이번 논란은 타이완이 오는 242020년 도쿄올림픽에서 '타이완(Taiwan)'이라는 명칭을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국민투표 실시를 앞두고 벌어져 더욱 논란이 격화되고 있다. 타이완은 지금까지 국제 스포츠 무대에서 사용하던 '차이니스 타이페이'라는 명칭을 사용해 왔다.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스스로 꼽은 3대 관광지, '만세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은 중국 관광지 ‘빅3’다. 베이징과 상하이 등도 중국 10대 인기 관광지에 포함됐다. 중궈신원왕 등에 따르면 메이투안 여행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 여름휴가 핫스폿 및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여름철 국내 인기 관광지는 베이징, 상하이, 시안, 난징, 청두, 광저우, 정저우, 충칭, 뤄양, 항저우 등이었다. 인기 관광지 TOP3는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이 차지했다. 보고서는 서북, 동북, 서남 지역의 여러 성(省)에서 관광 열기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지린, 헤이룽장, 랴오닝, 신장 등은 ‘피서 여행 고속 성장 지역’으로 떠올랐다. 목적지 분포로 보면, 1·2선 도시가 여전히 선도했고, 베이징·상하이·시안이 인기 목적지 1~3위를 차지했다. 이들 도시는 중국인들의 인기 관광 목적지로 부동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동시에 하위 도시 시장의 열기도 가파르게 상승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대 이후 세대의 젊은 관광객들이 소규모·특색 있는 관광지로 깊이 들어가 새로운 여행 방식을 발굴했다. 메이투안 여행이 발표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