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홍콩 '우산혁명' 지도자 9명 19일 재판…최대 7년형 가능성

사진 출처: 뉴시스

 

2014년 홍콩 민주화를 요구했던 일명 '우산 혁명' 지도자 9명이 19일 재판정에 선다. 만약 유죄가 인정될 경우 최대 7년형에 처해질 수도 있다.

 

영국 가디언은 홍콩의 대표적인 민주화 운동 지도자인 찬킨만(陳健民) 홍콩중문대 교수, 베니 타이(戴耀延) 홍콩대 교수, 추이우밍(朱耀明) 목사 등에 대한 재판이 19일에 열린다고 보도했다.

 

세 사람은 지난 2013'오큐파이 센트럴(도심을 점령하라)' 운동을 시작해 이듬해 '우산 혁명' 시위를 촉발하는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 이들은 201412월 경찰에 자수해 조사 받은 후 석방됐지만, 이후 검찰에 의해 기소됐다. 세 사람은 '우산 혁명' 시위를 촉발하는데 기여한 사실은 인정하지만, 검찰의 기소는 헌법에 위배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찬 교수는 "우리가 시위를 벌인 이유는 중국이 홍콩의 민주주의를 존중하겠다는 약속을 지키지 않았기 때문이다. 우리들은 비민주적인 중국의 부상이 전 세계를 위협할 수있음을 보여주는 예일 뿐이다"라고 가디언에 말했다.

 

'우산 혁명' 이후 200명 이상이 기소됐고, 이 중 상당수가 유죄 판결을 받아 수감됐다. 특히 시위에 동참했던 한 정치인은 6년형을 받고 수감 중이다. 홍콩의 분리독립을 요구하는 홍콩민족당은 홍콩 정치사상 최초로 불법화됐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