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 '솔로의 날' 35조 원 팔려…韓, 사드 딛고 해외직구 3위 복귀

사진 출처: 소후뉴스

 

중국 최대 전자 상거래 업체인 알리바바가 매년 1111일 여는 할인 이벤트인 솽스이(쌍십일) 쇼핑데이에 35조 원어치가 거래되면서 역대 최고 기록을 또 경신했다.

 

중국 인터넷업체 펑파이에 따르면 전날 24시간 동안 타오바오를 비롯한 알리바바의 여러 플랫폼에서는 2135억 위안(347천억 원)어치의 물건이 거래돼 역대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이는 작년 거래액인 1682억 위안(273천억 원)보다 26.9% 증가한 것이다.

 

앞서 데이터 분석업체 앱애니는 올해 '11.11'을 앞두고 거래 규모가 320억 달러(361천억 원)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했는데 실제 거래액은 이에 약간 미치지 못하였다.

 

중국 경제가 미중 무역전쟁 등으로 하방 압력을 받는 가운데 '11.11'은 중국의 소비자 지출의 척도로도 큰 관심을 받았다.

 

조 차이 알리바바 부회장은 미중 무역전쟁이 중국 중산층의 성장 궤도를 탈선시키지는 못한다고 말하였다.

 

중국의 중산층은 향후 1015년 안에 6억 명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11일 하루 알리바바에서 물류 거래 주문은 104200만 건에 달해 역시 사상 최대 기록을 경신하면서 하루 '10억 건 주문 시대'를 맞이하였다.

 

알리바바는 폭증하는 물류 처리를 위해 최근 무인 로봇 700대가 투입된 첨단 물류센터를 장쑤성 우시에서 개최되었다.

 

중국인들의 해외 직접 구매 순위에선 한국이 일본, 미국에 이어 3위를 기록하면서 작년보다 두 계단 뛰어올랐다.

 

한국은 20163위를 차지했지만 지난해엔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 여파로 5위로 밀려났었다.

 

'11.11' 행사는 중국 업계와 언론, 소비자들 사이에서 '솽스이'(11)라고 불리는데 초창기에는 애인이 없는 '솔로의 날'이라는 뜻의 '광군제'로 불리기도 한다.

 

알리바바 창업자 마윈이 미국의 블랙프라이데이를 따라 매출을 올리기 위한 대대적인 판촉 행사를 생각하다가 난징대 학생들이 '밸런타인데이'에 대항해 재미 삼아 만든 '솔로의 날'과 같은 1111일로 정했다는 것이 정설이다.

 

'광군'은 잎이나 다른 가지가 없는 앙상한 가지, 즉 결혼하지 않았거나 애인이 없는 사람을 뜻한다.

 

알리바바는 2009년부터 이날에 맞춰 24시간 할인 행사를 해왔고, 올해로 10회째를 맞이하였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