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홍콩 여배우 란제잉(蓝洁瑛) 사망....향년 55세

사진 출처: M Time

 

지난 1980~90년대 홍콩 영화 '백발마녀전''서유기' 등 무협물과 청춘극, 드라마에서 미모를 선보여 국내 팬에도 낯익은 여배우 란제잉(蓝洁瑛)이 쓸쓸히 죽음을 맞아 안타까움을 사고 있다.

 

중국시보(中國時報)4일 란제잉이 전날 홍콩섬 스탠리(赤柱)에 있는 자택에서 숨진 채로 발견됐다고 보도했다. 향년 55.

 

경찰에 따르면 란제잉 친구는 3일 그의 아파트를 찾았지만 인기척이 없고 이상한 냄새와 시끄러운 소리가 나자 신고했다.

 

이에 경찰이 현장으로 달려와 아파트 문을 따고 들어가 란제잉이 바닥에 쓰러진 채 이미 사망한 것을 확인했다.

 

경찰은 초동수사에서 란제잉에 대한 피살 가능성이 없다고 보고 일단 고독사한 것으로 판단하였지만 정확한 사인을 규명하기 위해 부검에 들어갔다.

 

1964427일 태생인 란제잉은 고등학교 졸업 후 1983년 무선TV(無綫電視 TVB) 연기반에 들어가면서 연예계 발을 디뎠다.

 

류자링(劉嘉玲), 우쥔루(吳君如), 류칭윈(劉靑雲) 등 중견스타들과 함께 데뷔한 란제잉은 드라마 '뉴계쌍성'으로 처음 얼굴을 내밀었다. 드라마 '가유교처' '보지림' '육지금마' '진명천자' '영웅고사' '개세호걸' '의부용정' '대시대(大時代)' 등에 출연하면서 'TV여왕''정절 오태산' 등이라며 별명까지 얻으며 스타덤에 올랐다.

 

또한 란제잉은 영화 '법외정' '기연' '팔보기병' '오호장지결렬' '당백호점추향' '백발마녀전' '서유기' '애자심'에도 등장해 큰 인기를 모았으며, 저우싱치, 량차오웨이, 리밍 등 미남스타들과 숱한 염문을 뿌렸다.

 

하지만 란제잉은 TVB와 전속계약 분쟁으로 캐스팅 제의가 거의 끊기면서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아 신경쇠약에 걸렸다. 이후 20년 가까이 정신이상 증세를 보였고 정신병원에 강제 입원 당하기까지 했다. 가게에 들러 맥주를 산 뒤 돈을 내지 않거나 산발한 머리에 배꼽을 노출한 채 거리를 배회하고 허공에 주먹질을 하는 등 잇따라 기행을 펼치는 모습이 파파라치에 포착되기도 했다.

 

란제잉은 여러 차례 재기를 위해 몸부림쳤으나 병 재발로 실패했으며 경제적으로도 힘들어져 2006년에는 개인파산을 신청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만년에는 정부 보조금으로 생활을 이어갔다고 한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