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남자 피부, 가을의 시간에 맞추다

기록적인 더위와 추석마저 지나가면서 남자의 계절, 가을이 다가왔다. 쌀쌀한 날씨에 맞게 두꺼워지는 옷차림처럼 매일 바르는 화장품에도 가을맞이가 필요하다. 가을은 일교차 크고 공기가 건조해 피부 관리에 더욱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이 때문에 외모와 패션에 관심을 갖고 아낌없이 투자하는 남성을 뜻하는 '그루밍족'도 분주해진다. 매력 있는 가을 남자가 되고 싶은 계절, 그루밍족을 위한 촉촉하고 스타일리시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 제품을 소개한다

@News1

 

 


우르오스 올인원 모이스처라이저


피부의 수분이 부족해지면 피부 노화가 심해진다. 특히 여성보다 유분 분비가 많고 수분이 부족한 남성은 요즘같이 건조한 환절기에 피부 보습을 더욱 신경 써야 한다. 최근에는 스킨과 로션, 에센스를 한데 모아 한 번에 효율적으로 피부를 관리할 수 있는 남자 올인원 로션이 많아졌다.


우르오스의 '올인원 모이스처라이저'는 남성 소비자의 수요를 고려해 복잡한 과정을 줄이고 한 번에 제대로 관리할 수 있는 제품으로 지성, 복합성, 중성, 건성 등 피부 타입 별로 선택할 수 있다. 9가지 허브 추출물로 매일 하는 면도로 예민해진 남자들의 피부를 진정시키고 무 파라벤, 무 인공향료, 무 인공색소에 피부 자극 테스트까지 완료해 피부 자극이 적다.

@News1


LG생건 '37°' 디어 옴므 올인원 크림 이종석 에디션


'숨 디어 옴므 올인원 크림 이종석 에디션'은 한류스타로 국내외를 오가며 바쁜 스케줄을 소화하면서도 한결같이 맑고 깨끗한 피부를 유지하는 숨의 전속모델 이종석으로부터 영감을 받아 만들어졌다.


피부톤을 밝게 관리해주는 '미라클 엑티베이터™'을 함유해 맑고 투명한 피부로 가꿔주고 피부 속이 건조해 관리가 어려운 남성 피부를 촉촉하게 관리해주는 마카 추출물도 함유되어 있다. 좀 더 간편하게 피부관리를 하고 싶어하는 남자들의 바람을 담아 에멀전과 에센스·크림을 하나로 결합했고 매일 반복되는 면도, 스트레스 등에 의해 피부가 쉽게 지치는 남성들을 위해 피부 보습과 회복을 도와 생기와 활력을 충전해준다.


@News1


세븐피엠 '멀티 남자 립밤'


보습이 필요한 곳은 피부만이 아니다. 얼굴에서 가장 피부층이 얇은 입술은 날씨가 건조할수록 트고 갈라지기 쉽다. 환절기는 입술을 촉촉하게 관리할 수 있는 립밤이 필요한 시기다. 세븐피엠 의 '멀티 남자 립밤'은 필요와 장소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타일링할 수 있는 제품이다. 양쪽에 보습과 발색을 위한 립밤이 각각 부착돼 있어 한가지 제품으로 보습과 스타일링 두 가지 효과를 볼 수 있다. 립밤의 보습 부분은 입술을 촉촉하게 해줘 입술 갈라짐 및 각질 고민을 덜어준다. 발색 부분의 스타일리시 레드는 부담스럽지 않은 색상으로 필요와 장소에 따라 남성의 스타일을 살려준다.

@News1


XTM '스타일옴므 쉐이빙 젤 센서티브'


피부가 민감해지는 가을에는 면도할 때도 조심해야 한다. 면도날이 가하는 자극이 미세 상처와 함께 피부 트러블의 원인이 되기 때문. 이럴 때는 자극을 줄이고 말끔한 면도를 할 수 있도록 보습 및 진정 효과가 있는 쉐이빙 제품을 선택하는 것을 추천한다.
XTM '
스타일옴므 쉐이빙 젤 센서티브'는 도포 후 문지르면 젤 제형에서 폼으로 변한다. 부드럽고 묽은 거품이 털을 부드럽게 불려줘 자극을 줄여주고 미세 상처 없는 편안한 면도를 도와준다. 주요 성분인 비타민이 풍부한 식물성 아보카도 오일과 장미꽃 추출물이 면도 후 예민해진 피부에 보습 및 진정 효과를 전해준다.

@News1


LG생건 빌리프 '맨올로지 아이크림 포 페이스'


빌리프는 남성 피부의 안티에이징 관리를 도와주는 '맨올로지 아이크림 포 페이스'를 출시했다. 이번 제품은 남성을 위한 맞춤형 피부 케어를 제공하는 빌리프의 남성 전문 라인 '맨올로지'에 새로 추가된 안티에이징 제품이다. 맨올로지의 노하우가 담긴 '발드리치 AA 포뮬러'를 함유해 눈가뿐 아니라 얼굴 전체 피부를 탄탄하고 생기 있게 만들어준다. 부드러운 고농축 크림타입의 제형으로 피부에 얇게 밀착되고 눈 녹듯 스며드는 사용감을 선사한다. 한 손에 들어오는 펌핑 튜브 타입의 용기로 휴대하기에도 좋다.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