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톈안먼 사건 유가족 단체, 시진핑 주석에게 "6·4 재평가 해달라" 요청

'톈안먼 어머니회(天安门母亲)'가 6·4 톈안먼 사건 29주년을 맞아 시진핑 주석에게 공개 서한을 통해 "6·4 톈안먼 사건에 대해 재평가해달라"고 요청했다. 

 

 

톈안먼 어머니회 대표 인물 딩즈린(丁子霖)

 

 

AFP통신은 3일 톈안먼 어머니회가 지난달 31일 당국의 삼엄한 감시 속에서도 시진핑 국가 주석에게 공개 서한을 보냈다고 전했다. 톈안먼 어머니회는 '6·4(六四)'라고도 명명되는 톈안먼 사건으로 가족을 잃은 유가족 단체다. 

유족 128명은 이 서한에서 "지난 29년간 그 누구도 안부를 묻거나 사과의 뜻을 전하지 않았다"며 "엄청난 대학살이 세상을 놀라게 했음에도 마치 아무일도 일어나지 않은 것처럼 됐다"고 호소했다. 이어 "톈안먼 유혈 진압 사태는 국가가 인민을 대상으로 저지른 범죄 행위로 반드시 재평가가 이뤄져 법적으로 해결돼야 한다"며 진상, 배상, 문책 등 3대 요구를 제시했다. 

하지만 톈안먼 어머니회의 이번 성명은 중국 대륙 내에서 볼 수 없다. 중국 정부의 철저한 언론 관제 때문. 중국 대륙 내에서는 출판물과 인터넷 상에서 철저히 차단된다. 또한 톈안먼 사건 유가족은 물론 중국 내 반체제 인사들은 공공연한 제재의 대상이다. 현재까지도 가택 연금, 공개 석상에서의 발언 금지 등이 행해지고 있다. 

 

 


 

한편 세계 각국에서는 기념행사가 진행됐다. 6월 4일 홍콩 빅토리아 공원에서도 중국 영토 중에는 유일하게 기념 행사가 열렸다. 홍콩의 NGO는 "6·4 사건을 재평가 하라"는 표어를 붙였고,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은 "아직도 억울한 영혼이 눈을 감지 못하고 있다"라며 성명을 발표했다. 기사=이동경 기자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