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의 콜택시 APP, 중국인들은 어떤 APP를 가장 많이 사용할까?

택시는 우리 생활 속에서 떼어 놓을 수 없는 중요한 이동 수단 중 하나인데요, 한국의 '카카오택시'와 마찬가지로 중국에도 다양한 콜택시 APP이 있습니다. 또한 중국의 콜택시 APP는 택시가 아닌 APP 제작 회사에 등록된 일반인의 차량도 사용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죠. 최근 안전성에 대한 문제 등이 제기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많은 사람들의 환영을 받고 있는 중국의 콜택시 APP. 과연 중국인들은 어떤 콜택시 APP를 사용하고, 콜택시 APP의 사용 현황은 어떻게 될까요? 界面新闻의 데이터로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중국의 콜택시 APP가 거둔 성공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른 업계와의 비교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중국 콜택시 APP 중 가장 큰 성공을 거둔 것으로 평가되는 APP는 바로 디디추싱滴滴出行인데요, 디디추싱은 중국 비상장 스타트업 기업(独角兽企业) 가치 평가에서 3000억 위안 이상으로 평가를 받으면서 마이진룽(蚂蚁金融 - 알리바바 산하의 금융회사)에 이은 2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샤오미小米보다 높은 순위입니다. 이와 같이 중국 콜택시 APP 분야는 타 업계와 비교해서 뒤지지 않는 성공을 거두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콜택시 APP의 사용률은 어떻게 될까요? 위의 자료는 콜택시 APP별 사용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2017년 12월 마지막 주, 전체 스마트폰 사용자 중의 12%의 사용자가 이용한 디디추싱이 가장 높은 사용률을 기록했습니다. 기타 APP와 월등한 차이를 보이며 12%의 이용률을 기록하고 있는 디디추싱에 이어 2위는 1.37%의 사용률을 기록한 션저우좐처神州专车입니다. 그리고 이외의 3개의 APP는 모두 소수점 대의 이용률을 보이고 있어, 디디추싱의 점유율이 가장 높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2017년 7월부터 집계된 해당 기록을 살펴보면 디디추싱과 기타 APP 간의 격차가 갈수록 커져가고 있음 역시 확인할 수 있겠습니다.

 

 

콜택시 APP 이용자의 성별 분포를 살펴보면, 비교적 남성이 많이 사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모든 APP에서 남성의 사용률이 50%를 넘어가고 있네요. 아무래도 최근에 나타난 안전 관련 문제가 이전부터 지속적으로 지적됐던만큼, 이용자들의 이같은 인식이 반영된 것이 아닌가합니다.

 

 

 

콜택시 APP의 연령별 사용분포를 살펴보면 스마트폰의 주 이용층인 20,30대의 비율이 월등히 높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20세 ~ 34세의 연령대가 모든 APP에서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콜택시 APP를 이용할 수 있는 경제력이 있으나, 자가용이 없는 사람이 가장 많은 세대이기에 위와 같은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입니다. 

 

 

마지막으로 각급 도시별 콜택시 APP 사용 분포입니다. 디디추싱과 션저우좐처의 경우 전국적으로 고른 사용 분포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와 달리 챠오챠오다처曹操打车와 셔우치위에처首汽约车의 경우는 일선도시와 신일선도시에서 높은 사용률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도시에인 해당 도시들에서 환영을 받는 것은 차량을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등 챠오챠오다처와 셔우치위에처가 기타 어플과 차별된 전략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글 = 유재일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스스로 꼽은 3대 관광지, '만세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은 중국 관광지 ‘빅3’다. 베이징과 상하이 등도 중국 10대 인기 관광지에 포함됐다. 중궈신원왕 등에 따르면 메이투안 여행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 여름휴가 핫스폿 및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여름철 국내 인기 관광지는 베이징, 상하이, 시안, 난징, 청두, 광저우, 정저우, 충칭, 뤄양, 항저우 등이었다. 인기 관광지 TOP3는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이 차지했다. 보고서는 서북, 동북, 서남 지역의 여러 성(省)에서 관광 열기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지린, 헤이룽장, 랴오닝, 신장 등은 ‘피서 여행 고속 성장 지역’으로 떠올랐다. 목적지 분포로 보면, 1·2선 도시가 여전히 선도했고, 베이징·상하이·시안이 인기 목적지 1~3위를 차지했다. 이들 도시는 중국인들의 인기 관광 목적지로 부동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동시에 하위 도시 시장의 열기도 가파르게 상승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대 이후 세대의 젊은 관광객들이 소규모·특색 있는 관광지로 깊이 들어가 새로운 여행 방식을 발굴했다. 메이투안 여행이 발표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