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의 콜택시 APP, 중국인들은 어떤 APP를 가장 많이 사용할까?

택시는 우리 생활 속에서 떼어 놓을 수 없는 중요한 이동 수단 중 하나인데요, 한국의 '카카오택시'와 마찬가지로 중국에도 다양한 콜택시 APP이 있습니다. 또한 중국의 콜택시 APP는 택시가 아닌 APP 제작 회사에 등록된 일반인의 차량도 사용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죠. 최근 안전성에 대한 문제 등이 제기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많은 사람들의 환영을 받고 있는 중국의 콜택시 APP. 과연 중국인들은 어떤 콜택시 APP를 사용하고, 콜택시 APP의 사용 현황은 어떻게 될까요? 界面新闻의 데이터로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중국의 콜택시 APP가 거둔 성공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른 업계와의 비교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중국 콜택시 APP 중 가장 큰 성공을 거둔 것으로 평가되는 APP는 바로 디디추싱滴滴出行인데요, 디디추싱은 중국 비상장 스타트업 기업(独角兽企业) 가치 평가에서 3000억 위안 이상으로 평가를 받으면서 마이진룽(蚂蚁金融 - 알리바바 산하의 금융회사)에 이은 2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샤오미小米보다 높은 순위입니다. 이와 같이 중국 콜택시 APP 분야는 타 업계와 비교해서 뒤지지 않는 성공을 거두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콜택시 APP의 사용률은 어떻게 될까요? 위의 자료는 콜택시 APP별 사용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2017년 12월 마지막 주, 전체 스마트폰 사용자 중의 12%의 사용자가 이용한 디디추싱이 가장 높은 사용률을 기록했습니다. 기타 APP와 월등한 차이를 보이며 12%의 이용률을 기록하고 있는 디디추싱에 이어 2위는 1.37%의 사용률을 기록한 션저우좐처神州专车입니다. 그리고 이외의 3개의 APP는 모두 소수점 대의 이용률을 보이고 있어, 디디추싱의 점유율이 가장 높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2017년 7월부터 집계된 해당 기록을 살펴보면 디디추싱과 기타 APP 간의 격차가 갈수록 커져가고 있음 역시 확인할 수 있겠습니다.

 

 

콜택시 APP 이용자의 성별 분포를 살펴보면, 비교적 남성이 많이 사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모든 APP에서 남성의 사용률이 50%를 넘어가고 있네요. 아무래도 최근에 나타난 안전 관련 문제가 이전부터 지속적으로 지적됐던만큼, 이용자들의 이같은 인식이 반영된 것이 아닌가합니다.

 

 

 

콜택시 APP의 연령별 사용분포를 살펴보면 스마트폰의 주 이용층인 20,30대의 비율이 월등히 높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20세 ~ 34세의 연령대가 모든 APP에서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콜택시 APP를 이용할 수 있는 경제력이 있으나, 자가용이 없는 사람이 가장 많은 세대이기에 위와 같은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입니다. 

 

 

마지막으로 각급 도시별 콜택시 APP 사용 분포입니다. 디디추싱과 션저우좐처의 경우 전국적으로 고른 사용 분포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와 달리 챠오챠오다처曹操打车와 셔우치위에처首汽约车의 경우는 일선도시와 신일선도시에서 높은 사용률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도시에인 해당 도시들에서 환영을 받는 것은 차량을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등 챠오챠오다처와 셔우치위에처가 기타 어플과 차별된 전략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글 = 유재일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