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창단 3번째 시즌…여전히 험난한 서울 이랜드FC의 우승 고지.

 

 2017년 올해가 서울이랜드FC의 창단 세번째 시즌이다. 이랜드FC는 지난해 연말부터 신규 선부 영입에 박차를 가하며 우승의 칼을 갈아왔다. 이랜드의 움직임은 예년보다 빠른 것이다. 그도 그럴 것이 팀의 간판 스트라이커 주민규와 주장 김동철이 각각 상주 상무와 아산 무궁화로 군입대가 확정되면서, 팀 전력 누수가 심각했기 때문이다. 한양대학을 졸업한 주민규는 183츠의 키에 2010년 대학축구대회 득점상을 받은 빼어난 선수다. 김동철 역시 181cm 키에 2011년 제 47회 전국 대학춘계연맹전 MVP를 획득한 바 있다. 여기에 또 다른 공격수인 유창현과 조우진이 계약만료로 팀을 떠났고, 수비수 구대엽이 목포시청으로 이적했다. 주력의 공백을 메꿀 새로운 선수가 필요했던 것이다.

이랜드FC는 이 같은 공백을 인천 유나이티드로부터 베테랑 미드필더 김태수를 영입하면서 메꿨다. 김태수 선수는 1981년 생으로 노련한 선수다. 이랜드는 또 외국인 선수도 빠르게 영입했다. 아르헨티나 프로 2부리그 소속 비야 달미네로부터 공격수 파블로 루이스를 영입했다. 서울 이랜드 FC는 기존 외국인 선수를 전부 보내고, 스페인어권 남미 커넥션으로 새 외국인 선수들을 구성하려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신인 선수 영입도 이뤄졌다. 청주대 출신 미드필더 정희웅과 연세대 출신 미드필더 강상민이 새로 입단했다.

김병수 감독 부임이후 대구 FC로부터 공격적 풀백 이준희, 대구 FC 수비수 최호정을 영입했다. 최호정은 풀백과 센터백, 수비형 미드필더까지 소화하는 멀티플레이어다. 지난 2월 이후 일본 J2리그의 교토 상가 FC로부터 공격수 로빙요와 미드필더 와다 아쓰키를 영입했다.

이런 진용을 갖춘 이랜드FC는 초반에 성적을 올리지는 못하고 있다. 3 5일 부천 종합경기장에서 열린 부천FC와 경기에서 21로 졌다. 또 홈경기장에서 열린 경남FC와 경기에서는 10으로 졌다. 새로운 주력 간 손발을 맞추는 데 시간이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신생팀 이랜드FC의 우승 고지는 아직도 저 멀리만 있는 듯 싶다.

 

 

글 = 강민주


사회

더보기
중 상하이시 출산장려를 위해 사측 납입 사회보험액의 6개월치 50%를 회사에 되돌려 주기로
중국 상하이시가 여 직원이 출산휴가를 쓰는 경우, 회사에게 납입했던 고용보험 등 사회보험료 6개월분의 50%를 지원키로 했다. 여성들이 보다 자유롭게 출산 휴가를 쓸 수 있도록 하는 조치다. 이번 제도 실시로 출산 등을 우려해 여성 고용을 주저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1징지왕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상하이시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여성 직원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기간 중 고용주의 사회보험 지원금 지급에 관한 통지"(이하 통지)를 공표했다. 이번 통지는 시 인적자원사회보장국을 비롯한 5개 부서가 공동으로 서명했다. 중국 매체들은 “새로운 정책은 정부, 사회, 기업이 참여하는 출산 비용 분담 체계를 구축하고 "아동 친화적" 정책의 가치 지향성을 더욱 강화하는 것을 목표”라며 “’아동 친화적 일자리‘와 ’출산휴가 사회보장금‘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여성의 취업 장벽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통지는 2025년 1월 1일부터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시행하고 고용보험 등 사회 보험료를 납부한 경우 바로 신청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지원 기준은 출산휴가 및 육아휴가 기간 동안 여성 근로자의 기초연금보험, 기초의료보험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