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웨이보 반응] 온 가족이 유명 왕홍网红? 중국 네티즌의 반응은?

 

 

 

 

 

 

 

 

 

 

 

출처 : 웨이보 微博 

 

우리나라에 파워블로거, 개인방송 BJ, 유튜버 등이 있다면 중국에는 왕홍网红이 있다고 합니다.
유명 왕홍은 중국에서 연예인 그 이상의 인기를 얻고 있다고 하는데요.
저장浙江성에는 쌍둥이 왕홍과 그 부모님까지, 온 가족이 전부 왕홍이라고 합니다!
이 가족이 벌어들이는 수입만 해도 연간 약 1천만 위안(한화 약 16억 원)이라고 하는데요.
과연 중국 네티즌들은 어떤 반응을 보였을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 일이 가치 있어도 적정한 수입은 아닐 수 있어. 모든 사회 여론의 경향에는 문제가 있지. 타오바오 생방송으로 연수입이 천만 가량인 게 정말 의사나 과학자들처럼 죽도록 피곤하게 지내는 것보다 가치가 있을까, 웃기고도 탄식이 절로 나온다! 

 

 

 

- 쭉 궁금했는데,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생방송을 본단 말이야? 내가 한번 생방송 중이던 방송에 글 남겨봤는데,
별로였던 BJ가 쓸데없는 말을 너무 많이 해서 다시는 보고 싶지 않았어ㅠ

 

 

 

- 무슨 내용이 나올 때마다 돈을 버는 것 같은데, 내가 하는 건 돈이 안돼..ㅠ

 

 

 

- 난 BJ 될 수 없어... 영원히 될 수 없어... 못생겼고, 말하는 것도 듣기 거북해...

 

유명 왕홍들이 방송만으로 많은 돈을 버는 것에 부러워하는 사람도 있지만,
그것이 좋은 것만은 아니라는 시선도 자리 잡고 있네요.
왕홍도 모두가 유명한 왕홍이 아닌 사람도 있고, 왕홍으로 인해 발생하는 새로운 사회 문제 역시
인기와 더불어 떠오르는 이슈인 것 같습니다. 글=김상태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