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洪吉童传》3

者 金新星 

创立“活贫党”之后,洪吉童制作7个像自己的稻草人,并用魔咒赋予了生命。洪吉童与稻草人在全国各地神出鬼没,洗劫腐败官吏的仓库来赈济挨饿的老百姓。 

洪吉童是深得老百姓支持的义贼,又有鬼神莫测之计,朝廷多方设法捉拿,却始终对他无可奈何。皇帝最后只能按照洪吉童的要求,将他任命为正二品的兵曹判书(朝鲜时期兵部的长官)。 

后来迫于形势,洪吉童带领三千多名手下离开了朝鲜本国。路上,他因为偶然的机会从妖怪的手中救出了三名美人,并迎娶她们为妻,一同到了海外的碑岛上,以儒家的“尧舜盛世”为蓝图建立了“理想国”——“栗岛国”。洪吉童以德治国,打造了太平盛世,国内外一切平安。后来,洪吉童把王位传给太子,与三名王妃一起离开尘世进入了山中。 

洪吉童为什么选择离开现实世界的朝鲜,到一个假象的空间“栗岛国”称王呢?作者通过这样的故事情节强调了无法突破的现实之壁。庶子洪吉童在现实世界中无法摆脱身份的束缚,只能到叫做“栗岛国”的假想世界,在想像中实现自己的梦想。从一定意义上,洪吉童这样的结局映现着许筠自己。 

许筠曾把自己比作为一条没有修成龙的巨蟒。奇妙的是,洪吉童与龙也有关联。《洪吉童传》中:“有一天,丞相(洪吉童父亲)靠在栏杆边打盹儿……一条青龙突然飞来,抬头咆哮一声,连山地都摇动。这条龙转身飞入了丞相的嘴里。丞相吓醒之后,便知道这是一生难得的吉梦。不久之后,小妾(洪吉童母亲)有了身孕。” 

作者许筠或许以小说中的洪吉童为媒介,试图在想像世界中突破自己只是条“大蟒”的现实,成为实现梦想的一条真正的龙吧。他借用庶子洪吉童的身份,写下了这部小说,以抨击李氏朝鲜王朝嫡庶制度、寄托政治理想,也反映下层群众的斗争活动。许筠终究还是没能逃过受刑的命运,但他的小说《洪吉童传》却永垂于文学的青史。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