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먹거리 사러 일본 여행 가는 중국인들?

며칠 전 중국 최대 온라인 여행사 씨트립은 일본이 중국 관광객이 두 번째로 많이 찾는 여행지라고 발표했습니다. 또한, 올해 약 60만 명의 중국 관광객들이 벚꽃 구경을 위해 일본을 갈 것이며, 약 80억 위안을 소비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재미있는 사실은 일본 식품, 특히 먹거리가 피부미용, 패션 상품 다음으로 많이 찾는 상품이라는 것인데요. 

과연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일본 관광청에 따르면, 2017년 일본을 찾는 중국 관광객의 수가 약 736만 명으로 관광객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습니다. 소비 또한 총소비 약 1,005억 위안(한화 약 17조 원), 1인 평균 14,000위안(한화 약 240만 원) 등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습니다.

 

 

또한, 위 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일본에서 소비하는 품목 중 먹거리零食와 기타 상품其他食品, 음료饮料, 주류酒类, 담배烟草 등의 소비가 꾸준히 증가하여 현재는 화장품, 패션 다음으로 소비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일본을 찾는 각 국가별 관광객들과 비교해보면 더욱 확실하게 알 수 있는데요. 중국 대륙에서 오는 여행객들은 약 30억 위안(한화 약 5,100억 원)을 먹거리에 소비하는데, 이는 관광객 총 먹거리 소비의 약 39%를 차지합니다. 타이완과 홍콩 관광객들도 각각 14억 위안(한화 약 2,400억 원)과 5억 위안(한화 약 850억 원)을 소비하며 일본 먹거리가 "광풍"임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과연 어떤 먹거리들이 중국인들을 매료시켰을까요? 일본의 각 공항 면세점에서 가장 인기리에 판매된 상품들을 살펴보면 가루비(Calbee) 감자스틱 삼 형제, 백색 연인 초콜릿(히로이 고이비또), 그리고 로이스(ROYCE) 초콜릿 이렇게 3종이라고 합니다. 이처럼 중국인들의일본 먹거리에 대한 애정을 간파한 일본 식품 회사들이 너도나도 중국 시장에 진출하려고 하는데요.

 

그중 네슬레 일본 지사는 올해 3월 중국에서 특히나 인기 있는 녹차 맛 웨하스 킷캣(일본의 초콜릿)을 판매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중국 소비자들이 꾸준하게 찾게끔 하는 특색 있는 상품을 개발하고 선보여

관광 분야에서 한층 더 발전했으면 좋겠습니다. 글=김상태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