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평창올림픽 경기장 어떻게 사용될까?

2018 평창동계올림픽 빙상경기 개최도시인 강릉시가 운영하게 될 올림픽 시설물의 사후활용 윤곽이 드러났다. 올림픽 피겨와 쇼트트랙 경기가 열린 강릉 아이스아레나의 경우 1층은 다목적 실내 복합스포츠 시설로, 지하는 실내 수영장으로 각각 활용하기로 했다. 특히 이곳 공간을 활용해 강릉 올림픽기념관을 설치, 아시아권에 올림픽을 홍보하고 교육하는 새로운 올림픽 허브 역할을 수행할 계획이다. 기념관에는 올림픽·패럴림픽 성화봉, 2018 올림픽 기념주화와 지폐, 올림픽 빙상스타 풋프린팅과 기증 물품, 기념우표와 배지, 마스코트 조형물, 각종 홍보물과 책자 등을 전시한다. 

 


 

강릉빙상경기장


 강릉 컬링센터는 올해까지 컬링대회를 유치해 운영하고 내년 하반기에는 체육 활동과 여가 공간, 사랑방 등 장애인 문화체육복합시설로 활용하기로 했다. 오는 11월 3일부터 10일까지 열리는 2018 컬링국제연맹(WCF) 아시아 태평양 컬링선수권대회를 유치하기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   지하는 기존대로 실내 빙상장으로 운영한다. 

관동하키센터는 가톨릭관동대가 다목적 시민체육시설로 활용한다. 그러나 아직 사후활용과 운영 주체가 결정되지 않은 강릉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과 강릉 하키센터는 정부 및 강원도와 적극적으로 협의해 최적의 활용방안을 찾기로 했다.

 

기자=윤진희, 출처=뉴스1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