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활화산 KIA, 답답한 LG…지난해 연장선 팀 타격

 

KIA 타이거즈는 활화산이고 LG 트윈스는 답답하다. 지난해와 크게 달라지지 않은 팀 타격 얘기다.
팀 타격 부문에서는 '우승후보' KIA의 폭발력이 무섭다. KIA 3경기에서 무려 홈런 10방을 터뜨리며 35점을 뽑았다. 득점, 홈런은 물런 팀 타율(0.378) 1위다. 무시무시한 방망이는 지난해 KIA가 통합우승을 차지한 원동력이었다. KIA는 지난해 타율(0.302)과 타점(868), 득점(906)에서 1위에 올랐다. 홈런도 3(170)였다.타격을 앞세워 KIA 21패로 우승후보다운 출발을 보였다. 개막전에서 kt 위즈에 패한 뒤 kt 2차전에서 14-1, 삼성 라이온즈와 첫 경기에서 17-0으로 대승을 거뒀다.

 

 

2018 신한은행 마이카 KBO리그 프로야구 KIA타이거즈와 kt 위즈 경기 6 KIA공격 2 3 상황에서 나지완이 홈런을 치고 3 주자였던 버나디나와 하이파이브를 하고 있다

 

 

반대로 LG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답답한 타격이 이어지고 있다. 115억원을 주고 데려온 김현수도 아직까지는 힘을 쓰지 못하는 모습이다. 지난해 LG는 팀 평균자책점 1(4.30)에 오르고도 팀 타율이 7(0.281)에 그쳐 팀 순위 6위로 포스트시즌 진출에 실패했다. 특히 팀 홈런(110), 팀 장타율(0.400)은 최하위였다. 달라질 것이라는 기대와 함께 시즌을 시작한 LG NC 다이노스와 개막 2연전에서 단 3점을 뽑는데 그치며 2연패를 당했다. 이어 지난 27일 넥센 히어로즈전에서는 4점을 냈지만 불펜이 무너져 4-5로 역전패, 3연패 늪에 빠졌다. LG의 팀 타율은 겨우 2할대를 넘긴 0.204로 전체 9위다. 득점 역시 9(7). 박용택이 타율 0.400으로 제 몫을 하고 있지만 김현수(0.154)와 아도니스 가르시아(0.167)의 방망이가 아직 침묵 중이다.


기자=이동경


 


사회

더보기
장관이대에서 고농현허까지 사자성어로 본 중국 AI 조작 광고 사기행각
“‘장관이대’(張冠李戴) 광고 사기 수법을 아시나요?” 중국 매체가 AI조작을 통한 사기판매 행각을 사자성어로 정리해 눈길을 끈다. 대표적인 성어는 ‘장관이대’(張冠李戴)다. 본래 뜻은 장씨의 관모를 이씨가 쓰고 있다는 의미다. 흔히 자신에게 어울리지 않는 자리를 앉아 권한을 행사할 때 쓴다. 또는 일은 장씨가 하는 데 생색은 이씨가 낸다는 의미도 있다. AI 조작 사기에서는 유명 연예인이 광고한 적 없는 데 AI로 조작해 유명 연예인이 모델로 나서 광고하는 브랜드인양 속이는 것을 말한다. 유명 연예인이 등장하는 광고의 제품에 대해 일반인들은 제품이 하자가 있거나, 사기일 것이라는 생각을 못하기 때문에 이용되는 수법이다. 가장 보편화된 AI 조작 광고 수법이다. 이 보다 한층 심각한 범죄가 ‘무중생유’(無中生有) 수법이다. 성어 의미는 완전한 거짓이라는 뜻이다. 없는 곳에서 물건을 있다고 만들어내는 것을 의미한다. AI 조작 사기광고에서는 단순히 모델로만 유명 연예인을 AI 조작해 등장하도록 하는 게 아니라, 더 나아가 마치 없는 할인 행사를 하는 듯 광고하는 것을 의미한다. 소비자를 적극적으로 속이는 것이다. 할인 혜택이 있는 예약 구매를 유도하는 듯한 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