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결국 여자로 밝혀진 8년 인터넷 상의 남자 친구

한 중국 여성이 인터넷에서 한 남자를 만나 묘하게 끌렸다. 8년을 사귀고 결혼까지 생각했다. 그런데 그 사랑했던 남자를 찾아본 결과, 이 여성은 깜짝 놀라고 만다. 그토록 사랑했던 남자가 자신의 중학교 여자 동창이었던 것이다.
© baher366, 출처 Unsplash

중국의 인터넷을 통해 벌어진 황당한 사기 사건이 화제다. 
사건의 주인공은 왕위안王媛, 사건은 8년 전인 2010년 어느 날로 거슬러 올라간다. 왕위안은 인터넷 채팅을 통해 우연히 자신을 슨쥔沈俊이라 소개하는 한 남자를 알게 됐다. 몇 마디를 메신저로 나누고 자신의 마음을 너무 잘 알고 이해해 주는 게 좋았다. 순식간에 왕위안은 남자와 사랑에 빠진다.
매일 남자 친구와 채팅을 하며 사랑을 키웠다. 남자친구는 멀리 있어 얼굴을 보기 힘들었다. 그렇게 6년여간 둘의 사랑은 갈수록 깊어졌다. 보지 못하는 안타까움이 더욱 사랑을 깊게 만들었다. 전화통화를 몇 차례 했을 뿐이다.
그러던 2016년 어느 날 남자 친구가 사업에 필요하다며 돈을 요구하기 시작했다. 무려 6년간 쌓은 사랑의 신뢰에 왕위안은 아무런 의심 없이 돈을 빌려줬다. 한번 두 번 빌려주기 시작한 게 무려 50여 회에 이르렀다. 처음 1만 5000위안의 돈을 보냈는데, 차침 액수도 커졌다. 그리고 2018 년 돌연 남자 친구가 인터넷에서 사라졌다.
왕위안은 그제서야 무엇인가 잘못됐다고 느꼈다. 바로 경찰에 신고를 한다. 경찰 조사 결과는 돈을 사기당한 것보다 더 왕위안을 상심케 했다. 경찰이 범인이라고 잡은 인물이 바로 왕위안의 중학교 동창생이었기 때문이다. 
범인 경찰에서 중학교 시절 친구들과 함께 왕위안을 놀리기 위해 남자를 가장한 만남을 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자기 혼자만 남아 왕위안의 남자 친구 행세를 했다고 밝혔다. 범인은 약간 중성의 목소리를 지녀 왕위안을 전화로도 속일 수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 경찰 조사결과 왕위안의 동창생은 씀씀이가 헤퍼 유흥비를 마련하고자 왕위안을 속였다.

기사=이동경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