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무한 감동의 올림픽, 평창동계페럴림픽 폐막

   

          평창동계패럴림픽이 18일 폐막식을 마지막으로 10일간의 열전을 마감했다. 역대  규모인 49개국 선수 567명 참가해 체력의 한계를 뛰어 넘는 도전정신으로 패럴림픽 정신을 구현했다이번 대회에서 한국 대표팀은 금메달 1개와 동메달 2개를 수확, 메달 순위 15위에 올랐다. 장애인 노르딕 스키 국가대표 신의현은 강원도 알펜시아 바이애슬론 센터에서 열린 장애인 크로스컨트리 스키 남자 7.5㎞ 좌식 경기에서 22분 28초 40을 기록해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신의현은 앞서 11일 크로스컨트리 남자 15㎞ 좌식 부문에서도 42분 28초 9로 동메달을 품에 안은 바 있다. 

 




   2002 솔트레이크시티 2010 밴쿠버 동계패럴림픽에서 각각 은메달 1개씩을 따낸 우리나라는 이번 평창에서 역대 최고 성적을 거뒀다. 1992년 알베르빌 동계패럴림픽에 처음으로 선수단을 파견한 이래 26년 만에 얻은 첫 금메달이다.

18일 저녁 8시 평창올림픽스타디움에서 열린 식은 ‘We Move the World’(우리가 세상을 움직이게 한다) 주제로 진행되었. 개식의 주제 ‘Passion Moves Us’(열정이 우리를 움직이게 한다)의 ‘우리’에서 ‘세상’으로 열정이 확장되는 메시지를 보여주었다.

 

   폐막식에서는  3개의 문화공연이 공식행사와 더불어 펼쳐. 문화공연에서는 김창완 밴드와 청각장애인 발레리나 고아라, 시각장애인 피아니스트 김예지, 카운터테너 이희상 등이 다양한 퍼포먼스를 선보여 눈길을 사로잡았다.

 

윤진희 기자

출처=news1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